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유형론의 한 분야인 음운 유형론의 시각에서 자연언어의 어말 종성의 발음에 나타나는 특성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고, 이를 한국어의 종성 자음 교육 방안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한국어의 ‘달’을 타이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단]으로 발음하고, 일본어 모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다루]와 같이 발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어 ‘bonus’와 massage’를 한국어에서는 각각 [보너스]와 [마사지]로 발음하는 반면에 타이어에서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논집 Vol. 78; pp. 157 - 186
Main Author 김선정(Kim Seon J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01.03.2020
한국학연구원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유형론의 한 분야인 음운 유형론의 시각에서 자연언어의 어말 종성의 발음에 나타나는 특성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고, 이를 한국어의 종성 자음 교육 방안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한국어의 ‘달’을 타이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단]으로 발음하고, 일본어 모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다루]와 같이 발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어 ‘bonus’와 massage’를 한국어에서는 각각 [보너스]와 [마사지]로 발음하는 반면에 타이어에서는 각각 [보넏]과 [마삳]으로 발음한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어말 음운 조정현상이 음절 구조 차원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음절을 이루는 음소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어야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어말 종성 발음과 관련된 선행 연구나 자연언어의 음운 정보를 통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그 어느 곳에도 어말 종성의 발음에 관한 항목은 없다. 예를 들어, 자연언어의 특징을 149개의 entry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는 WALS(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에도 자음과 모음을 비롯하여 자음과 모음의 비율, 음절 구조 등에 관한 많은 정보는 제시되어 있으나 자음의 위치별 특징, 특히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없다. 또한 세계 451개 언어의 음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에도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발음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음운 조정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언어의 종성 발음에 관한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언어유형론(Linguistic Typology)을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다수의 한국어 학습자가 모어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의 어말 종성(syllable-final consonants, coda)의 발음을 유형별로 나누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종성 자음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angu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to find a way to make use of them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In English, final obstruents in words such as ‘cook [kuk], cat [kæt], pop [pɑp], bus [bʌs], cheese [ʧi:z], massage [mæsɑʒ], beach [bi:ʧ], chief [ʧi:f], cave [keiv]’, etc. are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However, in German, final obstruents are not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but rather as their voiceless counterparts, as can be seen in ‘Wald’ and ‘Hund’ pronounced as [valt] and [hunt] respectively. This syllable-final devoicing process also takes place in Dutch, Uzbek, and several other languages. On the contrary, in Korean, the pronunciation of ‘입’ and ‘잎’ is identical, and so is the pronunciation of ‘낫’, ‘낮’, and ‘낯’. In other words, in Korean, the distinction of plain and aspirated is neutralised, and the distinction of fricative and affricates is lost. This is caused by the unreleasing phenomena, which is also found in Thai and Vietnamese. Yet, in the case of Vietnamese and Thai, in contrary to Korean, the syllable-final liquids are not pronounced. On the other hand, we know well than in Mandarin Chinese only ‘n’ and ‘ŋ’ can be pronounced in that position, whereas in Japanese only ‘n’ and ‘m’ are pronounced, unless one of the consonants sharing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is follow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ollowing syllable. Such characteristics cause a negative transfer on their Korean pronunciation when learning the language, with each of the pronunciations display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arner’s mother tongue. For instance, English, German, and Uzbek speakers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obstruents as released plosives, while Thai speakers almost never pronounce them as released plosives, yet they tend do pronounce the syllable- final ‘ㄹ’ as [n]. On the other hand, Chinese speakers completely eliminate the syllable-final consonants in their pronunciation, and Japanese speakers pronounce them with an addition of the vowel [u].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seeks a way to make use of them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ewcms.kmu.ac.kr/actakoreana/index.do
ISSN:1738-8902
2671-7492
DOI:10.18399/actako.2020..78.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