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여성 골관절염 환자에서의 대퇴골의 해부학적 회전 정렬축에 대한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분석
목적: 대퇴골의 해부학적 정렬축들의 관계를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골관절염이 있는 여자 환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정렬축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자 환자 218명(osteoarthritis, OA군)과 골관절염이 없는 40세 이하의 여성 50명(대조군)을 비교하였다. 환자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영상에서 축상 영상들을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축상...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2; no. 3; pp. 272 - 27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대퇴골의 해부학적 정렬축들의 관계를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골관절염이 있는 여자 환자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정렬축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자 환자 218명(osteoarthritis, OA군)과 골관절염이 없는 40세 이하의 여성 50명(대조군)을 비교하였다. 환자의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영상에서 축상 영상들을 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축상 영상들을 중첩하고, 중첩된 축상면에서 정렬축들을 도식하였다. 전후방 축(anteroposterior, AP축), 후과 축(posterior condylar axis, PCA), 해부학적 대퇴 상과간 축(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aTEA) 및 외과적 대퇴 상과간 축(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sTEA)의 축간 각도의 차이를 OA군과 대조군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P-PCA 축간 평균각은 대조군에서 96.3o±1.87o이고 OA군에서 92.9o±1.70o였고 (p<0.01), AP-aTEA 축간 평균각은 각각 90.8o±1.12o, 84.5o±2.59o였으며(p<0.01), AP-sTEA 축간 평균각은 각각 95.1o±1.27o, 88.7o±1.98o였다(p<0.01). aTEA-PCA 축간 평균각은 대조군에서 5.5o±2.00o이고 OA군에서 8.4o±2.84o였으며(p<0.01), sTEA-PCA 축간 평균각은 각각 1.2o±2.10o, 4.3o±1.17o였다(p=0.917).
결론: CT 축상 이미지들을 중첩시키는 방법으로 원위 대퇴골의 회전 정렬축 간의 관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OA군에서 대조군보다 AP축이 aTEA에 비하여 내회전하고 aTEA-PCA 축간 각이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ethod to measurement of the exact anatomical alignment from the femur using a reference axis on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alignment axis between healthy young females and femal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8 femal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joint (OA group),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4,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control group included 50 female patients with healthy knee joint. Each study subjects took a CT scan of their knee, and a series of axial CT images of the distal femur were overlapped using the image program. Angles were measured among the anteroposterior (AP) axis, posterior condylar axis (PCA),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aTEA), and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sTEA). The differences of rotation angle between the normal and osteoarthritic kne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P-PCA angle in the OA group was 92.9°±1.70°, whereas that in the control group was 96.3°±1.87° (p<0.01). The mean AP-aTEA angle was 84.5°±2.59°, and 90.8°±1.12° respectively (p<0.01). The mean AP-sTEA angle in the OA group was 88.7°±1.98°, whereas that in the control group was 95.1°±1.27° (p<0.01). The mean aTEA-PCA angle in the OA group was 8.4°±2.84°, while control group was 5.5°±2.00° (p<0.01). The mean sTEA-PCA angle in the OA group was 4.3°±1.17°, whereas that in the control group was 1.2°±2.10° (p=0.917).
Conclusion: We measured the exact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axes of the distal femur by overlapping the axial images of a CT scan. The OA group revealed a more internally rotated AP axis compared with aTEA and an increased angle of aTEA-PCA than control group.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
DOI: | 10.4055/jkoa.2017.52.3.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