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적정성 및 서비스 효용성 평가를 기반 도보권 근린공원의 최적입지 선정
본 연구에서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입지 조건에맞춰 개발 가능한 후보지를 선정하고, 공원 공급적정성 평가를 수행한 뒤, 거주자 및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서비스 효용이 높은 신규 도보권 근린공원의 최적입지를 탐색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도시공원 입지선정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 3장에서는 도보권 근린공원 최적입지선정 분석 방법방법을소개하고, 제 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결론과 함께 본 연구의 기여점을...
Saved in:
Published in | 국토계획 Vol. 52; no. 2; pp. 203 - 219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4.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17.04.52.2.203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입지 조건에맞춰 개발 가능한 후보지를 선정하고, 공원 공급적정성 평가를 수행한 뒤, 거주자 및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서비스 효용이 높은 신규 도보권 근린공원의 최적입지를 탐색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도시공원 입지선정 관련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제 3장에서는 도보권 근린공원 최적입지선정 분석 방법방법을소개하고, 제 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결론과 함께 본 연구의 기여점을 제시한다. Seoul has undergone rapid urbanization, aging phenomena and imbalance of green spaces. The park is widely known as the facility mitigating these problem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optimal location of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NPWW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explore the location candidates of NPWWD, we implemented the provision assessment of 85 primary candidates after selecting the developable locations for NPWWD. According to the provision assessment, four optimal locations are selected, which are located in Jung-gu and Seongdong-gu.
Among the secondary four candidates which passed the provision assessment, we set the priority by comparing their service utilities. The most valuable optimal location turns out to be located in Jung-gu. Our study provides some information for city planner to choose best sites suited to build NPWWD.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0338.2017.52.2.002 |
ISSN: | 1226-7147 2383-9171 |
DOI: | 10.17208/jkpa.2017.04.52.2.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