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어휘 상징 유형에 따른 상징 선택의 정확도 및 선호도
목적: 도상성이 높은 AAC 상징은 쉽게 의미를 이해하고 변별할 수 있으므로 상징 선택 시 정확도와선호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정 어휘 상징 유형에 따른 상징 선택의 정확도및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15개의 감정 어휘를 선정하여 각각의 어휘에해당하는 정적 상징(15개)과 동적 상징(15개)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고 있는49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상징 선택의 정확도 및 선호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정확도 및선호도 검사 시 화면에 표시된 상징에...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7; no. 4; pp. 55 - 6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8.27.4.055 |
Cover
Summary: | 목적: 도상성이 높은 AAC 상징은 쉽게 의미를 이해하고 변별할 수 있으므로 상징 선택 시 정확도와선호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정 어휘 상징 유형에 따른 상징 선택의 정확도및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15개의 감정 어휘를 선정하여 각각의 어휘에해당하는 정적 상징(15개)과 동적 상징(15개)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치료를 전공하고 있는49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상징 선택의 정확도 및 선호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정확도 및선호도 검사 시 화면에 표시된 상징에 대한 설문지가 제공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정적 상징에 대한정확도가 동적 상징에 대한 정확도보다 더 높게 나왔으나 정적 및 동적 상징 모두 첫 번째 노출보다 두번째 노출 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상징 유형에 따른 선호도 검사에서는 정적 상징이 동적 상징에비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상징의 학습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상징의 의미를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피험자 중 3분의 1 (37.2%) 이상이 동적 상징을 선호하였다는 것은 개인마다 선호하는 상징의 유형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연령대, 장애군, 시각적 단서 등을 고려한 상징체계에 대한 연구가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Purpose : AAC symbols with high iconicity can easily be understood and distinguish meaning, so they are likely to increase accuracy and preference when making symbol sel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uracy and preference of symbol selection according to emotional vocabulary symbol type. The primary question of this study is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accuracy and preference between dynamic and static symbols. Methods : A total of 15 emotional word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in this study, and static symbols (15) and dynamic symbols (15) corresponding to each word were applied. Forty-nin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therap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performed accuracy and preference tests for the symbols. The accuracy and preference tests provided subjects with a questionnaire about the symbols presented on the screen. Results : The accuracy of static symbols was higher than the accuracy of dynamic symbols, but both static and dynamic symbols showed higher accuracy in the second exposure than in the first exposure. In the preference test by symbol type, static symbols were preferred over dynamic symbols.
Conclusions : This study confirms the learning potential of symbols and shows that continuous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ymbols. Also, more than one-third (37.2%) of the study subjects preferred dynamic symbols, which suggests that the types of symbols preferred by individuals may vary.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on symbol systems will consider various age groups, disability groups, visual cues, and the like.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8.27.4.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