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의 경험과 의식세계

이 글은 제보자 정보와 연계하여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제보자의 경험과 상흔을 관찰하고, 남성과 여성의 의식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나타나는 65편의 ‘지네각시 설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약 70%가 남성 제보자로부터 채록된 것이다. 우선 남성과 여성 제보자의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들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에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으면서 가정을 부양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동일시 양상을 중심으로 남성과 여성의 경험세계와 상흔을 관찰하였다. 우선 남주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39; no. 4; pp. 209 - 253
Main Author 유진아(Ru, Jin-a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학중앙연구원 0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제보자 정보와 연계하여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제보자의 경험과 상흔을 관찰하고, 남성과 여성의 의식세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구비문학대계』에 나타나는 65편의 ‘지네각시 설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약 70%가 남성 제보자로부터 채록된 것이다. 우선 남성과 여성 제보자의 특징을 정리하였으며, 이들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에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으면서 가정을 부양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동일시 양상을 중심으로 남성과 여성의 경험세계와 상흔을 관찰하였다. 우선 남주인공의 유형을 가장, 가난한 총각, 한량, 선비 유형으로 크게 분류하였고, 이에 대한 남녀 제보자의 동일시 양상을 관찰하였다. 남성과 여성 모두 ‘가난하여 가정을 부양할 수 없었던 가장’의 모습에 깊이 공감하고 있었으며, 여기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에 겪은 경제적 어려움이 노출되어 있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부재중인 남성을 대신하여 가장의 역할을 해야 했던 경험이 구술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가난하여 결혼할 수 없는 총각’의 모습은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며, 경제적 이유로 객지를 전전한 제보자들의 경험과 외로움의 정서가 드러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녀 제보자의 동일시 양상과 지네각시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하여 ‘지네각시 설화’에 나타나는 남녀의 의식세계를 고찰하였다. 남성의 의식세계에서는 남성의 강한 경제적 욕망이 가부장제도하에서의 헌신적 아내의 모습을 한 지네각시에 의해 성취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장의 무능력에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여전히 헌신적인 아내상을 받아들이는 여성 제보자들을 통해, 전반적으로 가부장제도하에서 살아온 남성과 여성 제보자들의 의식세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observed Men’s and Women’s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in Korean Folktale, Jinegaksi(지네각시 설화) on the basis of informations of 62 narrators in Collections of Korean Oral Literature(『한국구비문학대계』). Almost 70% of these narrators are male. Firstly, from narrators’ informations, there is confirmed the fact that men’s and women’s narrators had been suffered economically from under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having supported their children, and parents. Secondly, it observed men’s and women’s Experience and Trauma through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It categorized hero into four types: a head of household, a poor unmarried man, a playboy, and a classical scholar. Both men and women sympathize with a head of household who cannot support their family because he is so poor. Also, economic difficulties of Japanese ruling era and Korean War are exposed in their process of dictating. Especially, there are observed traumas from female narrators who had been in charge of their family instead of their husband who had died early or had been in bed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and the Korean War. Male narrators who had lived away from home for financial reason in their youth, identify with poor unmarried man and reveal their experience and loneliness. Lastly, through men’s and women’s identification and Jinegaksi’s images as Anima, this writer confirm men’s and women’s consciousness. Male narrators reveal their economic desir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a head of household who cannot support their family or a poor unmarried man, and men’s economic desire to gain richness through Jinegaksi of devoted Anima. Devoted wife’s image is demanded under patriarchal system. Even women who had supported their family instead of a head of household, sympathize with hero and accept devoted Jinegaksi. Therefore, to both men and women, there are confirmed their agreement to committed wife’s image under patriarchal system.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772.2016.39.4.003
ISSN:2671-8197
2733-936X
DOI:10.25024/ksq.39.4.20161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