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청소년에서 칼슘 섭취량에 따른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치아우식 경험 간의 관련성
본 연구는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0~18세 청소년 2,655명을 대상으로 칼슘 섭취량에 따라 평균필요량(EAR) 이하 그룹과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비타민 D 상태와 치아우식 경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란변수인 연령, 가구소득, 기초생활수급 여부, 칫솔질 횟수, 치과병의원 방문 여부를 보정한 후, EAR 이하 그룹에서 혈중 25(OH)D 농도가 충분한 그룹 대비 불충분 그룹이 3.370배(OR=3.370, 95% CI=1.066~10.655)로 치아우식 경험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9; pp. 926 - 93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9.926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0~18세 청소년 2,655명을 대상으로 칼슘 섭취량에 따라 평균필요량(EAR) 이하 그룹과 초과 그룹으로 나누어 비타민 D 상태와 치아우식 경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란변수인 연령, 가구소득, 기초생활수급 여부, 칫솔질 횟수, 치과병의원 방문 여부를 보정한 후, EAR 이하 그룹에서 혈중 25(OH)D 농도가 충분한 그룹 대비 불충분 그룹이 3.370배(OR=3.370, 95% CI=1.066~10.655)로 치아우식 경험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자 청소년에서만 나타났으며 여자 청소년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남자 청소년에서 칼슘 섭취량에 따른 비타민 D 농도는 치아우식 경험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치아우식 경험과 칼슘과 비타민 D의 연관성에 대한 기전을 밝히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an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calcium nutritional status and dental caries in Korean adolescents, even though they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vitamin D and calcium insu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and risk of dental caries in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calcium intake using the 2010∼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We analyzed data pertaining to 2,655 Korean adolescents aged 10 to 18 years. Calcium intake was estimated by a single 24-hour dietary recall.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alcium intake (≤EAR and >EAR).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experie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calcium intake was evalu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fter adjusting for age, household income level, recipient of basic livelihood, toothbrushing, and having a dental checkup within the past year. Comparison of the serum 25(OH)D sufficiency (25(OH)D ≥30.0 ng/mL), the OR of serum 25(OH)D insufficiency (20 ng/mL≤ 25(OH)D <30 ng/mL) was 3.370 (95% CI=1.066∼10.655) for experience of dental caries in boys having calcium intake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The serum 25(OH)D levels according to calcium intake were related to risk of dental caries in Korean adolescent boy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9.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