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 분석 연구 -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최근 뉴스는 인터넷과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으로써 다양한 매체의 변화를 겪으며 이에 따라 뉴스 소비 행태도 바뀌고 있다. 이러한 뉴스 매체의 변화에 따른 뉴스 소비 행태의 변화는 다른 세대와 달리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며 자란 성장 배경을 가진 Z세대에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및 프로세스를 통해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를 분석한 결과, 불평 요인으로는 뉴스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뉴스 콘텐츠, 이용도가 낮은 뉴스레터의 불편함,...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2; no. 12; pp. 2049 - 206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12.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1.22.12.2049 |
Cover
Loading…
Summary: | 최근 뉴스는 인터넷과 모바일 등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으로써 다양한 매체의 변화를 겪으며 이에 따라 뉴스 소비 행태도 바뀌고 있다. 이러한 뉴스 매체의 변화에 따른 뉴스 소비 행태의 변화는 다른 세대와 달리 디지털 매체를 이용하며 자란 성장 배경을 가진 Z세대에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및 프로세스를 통해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Z세대의 뉴스 소비 행태를 분석한 결과, 불평 요인으로는 뉴스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뉴스 콘텐츠, 이용도가 낮은 뉴스레터의 불편함, 뉴스 집중을 방해하는 불편한 인터랙션의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요구 사항으로는 캐릭터를 활용한 뉴스 브랜딩 등의 방법을 통한 재미 요소 추가, 심도있는 뉴스 컨텐츠의 제공, 뉴스 사용자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Recently, news has undergone changes in various media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mobile, and news consumption behavior is also changing accordingly. Unlike other generations, changes in news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se changes in news media are more pronounced to Generation Z with a growth background grown using digital media.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news consumption behavior of Generation Z in depth through service design methodology and process. As complaints, the authors identified news content that reduced credibility, the inconvenience of newsletter delivery, and interactions that prevented focus on the news. As requirements, a fun factor through the method of news branding, in-depth news content, and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news users was derived.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1.22.12.2049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1.22.12.20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