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직업군인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36),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β=.18), 일의 의미(β=.17), 월소득(β=−.16)이었으며, 이들은 조직몰입을 37...
Saved in:
Published in | 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5; no. 1; pp. 30 - 3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스트레스학회
01.03.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소명의식, 일의 의미,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직업군인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의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36),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β=.18), 일의 의미(β=.17), 월소득(β=−.16)이었으며, 이들은 조직몰입을 37.0% 설명하였다. 따라서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적극적인 대처기술을 증진시키고 초급간부 시기부터 군인으로서 일의 의미를 부여하는 교육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calling, meaning of work,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areer soldiers. Data were collected from 160 career soldiers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e mean scores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3.72±0.80, calling 3.00±0.66, meaning of work 3.05±0.36, job stress 2.28±0.35, active stress coping 3.67±0.36, and passive stress coping 3.16±0.41 each.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alling (r=.19, p=.019), meaning of work(r=.45, p<.001), and active stress coping (r=.44, p<.001);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53, p<.001). The affecting factors were job stress (β=−.36), active stress coping (β=.18), meaning of work (β=.17), monthly income (β=−.16) in order. The explained variance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7.0% among career soldi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er soldi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active coping skills to reduce job stress and to develop educational strategies to give meaning of work as a career soldier from the period of junior leaders. KCI Citation Count: 20 |
---|---|
Bibliography: | G704-002182.2017.25.1.005 |
ISSN: | 1225-665X 2234-1668 |
DOI: | 10.17547/kjsr.2017.25.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