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 성인의 비유창성 정도에 따른 일반 청자의 인식

배경 및 목적: 말더듬은 구어 유창성에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의사소통과 관련된 문제를 초래하는 구어 장애이다. 이 말더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거론되는 환경적 요인 중 한 가지는 청자의 반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의 비유창성 정도에 따른 일반 청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말을 더듬지 않는 청자 128명에게 비유창성 정도가 상이한 구어 자극, 즉 정상 구어, 경도 비유창성, 중도 비유창성, 심도 비유창성 구어 자극을 보여준 후에 각 참가자가 말더듬인의 성격 특성, 구어의 자연스러움 정도와 편안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3; no. 4; pp. 1 - 13
Main Authors 권도하(Do Ha Kwon), 안진영(Jin Yeong A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4.23.4.00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및 목적: 말더듬은 구어 유창성에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의사소통과 관련된 문제를 초래하는 구어 장애이다. 이 말더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거론되는 환경적 요인 중 한 가지는 청자의 반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의 비유창성 정도에 따른 일반 청자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말을 더듬지 않는 청자 128명에게 비유창성 정도가 상이한 구어 자극, 즉 정상 구어, 경도 비유창성, 중도 비유창성, 심도 비유창성 구어 자극을 보여준 후에 각 참가자가 말더듬인의 성격 특성, 구어의 자연스러움 정도와 편안함 정도, 말더듬인에 대한 친구 호감도와 고용 호감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로 비유창성 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청자로부터 얻은 평정척도를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변량분산분석으로 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성격 특성에 관한 첫인상 판단, 구어의 자연스러움 정도, 구어의 편안함 정도, 고용 호감도에서 비유창성 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격 특성에 관한 첫인상 판단에서 정상 구어는 경도, 중도, 심도 비유창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연스러움 정도와 편안함 정도에서도 정상 구어는 경도, 중도, 심도 비유창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용 호감도에서 정상 구어는 중도, 심도 비유창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친구 호감도에서는 비유창성 정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청자는 구어가 비유창한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과 긍정적인 인식 모두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말더듬은 청자의 반응을 함께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Stuttering is a speech impairment that affects speech fluency and one that results in some degree of communication related problems. One asp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stuttering deals with listener re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stener perceptions of the disfluency levels of stutterers. Methods: A total of 128 listener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ach listener was randomly assigned and exposed to only one of four conditions of varying disfluency levels. After watching a sample, listeners completed a rating scale for questionnaires (impression of personality traits, speech naturalness, listener comfort, friend preference, employment preference). Each rating scale was analyzed using a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Results: The analyses revealed a number of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disfluency levels for personality traits, speech naturalness, listener comfort, and employment preference. For personality traits, speech naturalness, and listener comfort, the analysis revealed that listeners rat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in the normal speech sample than in the disfluency speech samples. For employment preferen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listeners rat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 in the normal speech sample than in the moderate and severe disfluency sampl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friend preference were observed.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data, listeners have both negative and positive perceptions about stuttering. Therefore, stuttering must be taken into account with listener perceptions.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0939.2014.23.4.012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4.23.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