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nsenoside Rg1 전환에 대한 에탄올 농도와 유기산의 영향
본 연구에서는 유기산과 에탄올 농도가 인삼의 주요 사포닌인 ginsenoside Rg1의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ginsenoside Rg1 용액에 유기산(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과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130°C에서 가열 후 Rg1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Ginsenoside Rg1은 증류수 조건에서는 130°C에서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유기산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minor ginsenoside로 쉽게 전환되었다. Rg1으로부터 가수분해 반응으로 C-20에 결합한...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7; no. 8; pp. 813 - 819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8.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유기산과 에탄올 농도가 인삼의 주요 사포닌인 ginsenoside Rg1의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ginsenoside Rg1 용액에 유기산(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과 에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130°C에서 가열 후 Rg1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Ginsenoside Rg1은 증류수 조건에서는 130°C에서도 매우 안정하였으며, 유기산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minor ginsenoside로 쉽게 전환되었다. Rg1으로부터 가수분해 반응으로 C-20에 결합한 glucose가 이탈한 Rh1(S) 및 Rh1(R)이 생성되고 가수분해된 ginsenoside로부터 탈수반응으로 C-20의 OH기가 이탈한 Rk3와 Rh4가 생성되었으며, ginsenoside Rg1의 전환반응은 유기산의 종류와 농도 및 에탄올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Rg1과 Rg1으로부터 생성되는 ginsenoside, 유기산, 에탄올 및 가열시간 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의 추출용매로서 흔히 사용되는 에탄올이 가열과정에서 ginsenoside의 전환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에탄올 농도의 조절이 인삼가공품의 품질지표 성분인 ginsenoside 조성을 조절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thanol concentration and organic acids on conversion of ginsenoside Rg1 under heating. Ginsenoside Rg1 solution was treated with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s (0∼50%) and organic acids (0∼3 mM of citric acid, malic acid, and succinic acid) at 130°C, then analyzed using a HPLC-UVD. The ginsenoside Rg1 was highly stable at 130°C in distilled water, whereas Rg1 was readily converted to minor ginsenosides, including Rh1(S), Rh1(R), Rk3, and Rh4 in distilled water with organic acids. The conversion ratio of ginsenosid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cid concentration and heating time, whereas it decreased when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nversion level of Rg1 differed according to types of organic acids. The independent variables (heating time, organic acid, and ethanol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insenoside conversion (P<0.00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insenoside conversion level differed according to ethanol concentra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refore, ethanol could be used as a regulator for the conversion of ginsenosides during ginseng extraction and processing.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8.47.8.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