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성숙도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독서코칭의 조절효과 검증

독서가 학습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고 삶의 소양을 쌓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은 보편적 상식이 되었다. 아울러개인의 성장은 물론, 그가 몸담은 조직의 성과나 성취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기존 인문학이나 교육학계에서 주로 연구되어 온 독서효과 개념을 도입하여 조직현장의 직무 요인 간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천년대 이후 활발하게 시행되어 온 독서경영 기법이나 프로그램이엄밀하게 독서효과를 검증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문식력의 개념에서확장하여 독자의 성장과 성숙 등 효과요인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5; no. 5; pp. 929 - 960
Main Author 기노경(Nokyoung K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5.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22.35.5.929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독서가 학습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고 삶의 소양을 쌓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은 보편적 상식이 되었다. 아울러개인의 성장은 물론, 그가 몸담은 조직의 성과나 성취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기존 인문학이나 교육학계에서 주로 연구되어 온 독서효과 개념을 도입하여 조직현장의 직무 요인 간영향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천년대 이후 활발하게 시행되어 온 독서경영 기법이나 프로그램이엄밀하게 독서효과를 검증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에서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문식력의 개념에서확장하여 독자의 성장과 성숙 등 효과요인을 포함하여 독서역량의 지표로 활용되어 온 독서성숙도 요인과직무열의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독서성숙도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독서가 복잡하고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회적 성과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확장적 인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연구에서는 변인 간 긍정적 효과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적 논거로써 자기결정성 이론의 내적 동기를 활용하였다. 자기결정성 이론에서는 순수하게 개인의 내발적 발현에 의한 동기를 내적 동기로서 설명하고 있다. 내적 동기는자율적 동기부여가 충족된 상태로서 가장 높은 수준의 동기의 단계를 말한다. 자기 결정성 이론은 독서의동기를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내적 동기를 설명하는 요인을크게 두 측면에서 보고 고찰하였다. 첫째로 독서성숙도 개념이 포괄적으로 내적 동기의 원천 요인을 포함한다고본 것이고 둘째로는 내적 동기의 원천으로 작용하는 별도의 변인을 상정하여 독서와 직무관련 요인 간 관계를매개한다고 보았다. 이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군 장병으로서 육군대대급부대의 장병 4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SmartPLS를 활용한 구조경로모형분석을실시하였다. 검증결과 독서성숙도와 직무열의 간 관계에 있어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의 단일매개효과 및이중매개효과가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독서성숙도와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영향관계에있어 독서코칭의 조절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이론의 내적 동기부여개념을 토대로 성숙한 독자는 내적 동기부여가 충만하다고 보았다. 또한 다양한 경험요소를 통해 변화상황에적절히 대처하며 맡겨진 직무에 열정적으로 전념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직무현장에서독서의 고유 효과요인의 경로관계를 증명하였고 조직특성에 부합한 독서코칭이나 관련 프로그램의 설계가가능해졌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크게 학문적 차원과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제시하였다. It has become *universal common sense that reading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kills and is effective in building up knowledge in life. I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the organization in which he worked, as well as personal growth.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factors in the organization fiel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reading effect, which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e existing humanities and education field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limitation that reading management techniques or programs that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since the 2000s have not been strictly verified the reading effect. To this end, this study expanded from the existing concept of literacy and utilized reading maturity factor including concepts such as growth and maturity of readers as a representative indicator of the reading competency. With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reading maturity, it has become possible to expand the perception that reading can flexibly respond to situations and contribute to achieving social outcomes in a complex and changing society. In this study,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used as the main theoretical argument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 between variables.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purely explains the motivation of an individual’s voluntary expression as a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refers to the highest level of motivation as a state in which autonomous motivation is satisfied.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is being used as a useful theory to explain the motivation for reading. In this study, factors explaining self-determination’s intrinsic motivation were viewed and investigated from two aspects. First, the concept of reading maturity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source 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secondly, a separate variable acting as the source of intrinsic motivation was assum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job-related factors. Based on thi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6 army battalion-level soldiers. A structural path model analysis using SmartPL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prov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aturity and job engagemen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and self-efficacy were completely mediated. Howev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aturity, self-directedness, and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reading coaching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 concept of intrinsic motivation in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considered that mature readers are full of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t was predicted that through various experience factors, they would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changing situation and devote themself passionately to the task entrusted to them. Through this study, the unique effect factors of reading on job factors was proved, and reading coaching and related programs suitable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designed.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topics.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22.35.5.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