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공감 능력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장애인의 공감 능력에 대하여 이루어진 연구들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것이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총 29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발행 연도, 게재된 학술지,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 사용된 공감 측정 도구, 연구 주제,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른 연구 논문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논문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정서·행동장애연구...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Vol. 28; no. 2; pp. 70 - 8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12.2020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28.2.202012.004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장애인의 공감 능력에 대하여 이루어진 연구들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것이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총 29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발행 연도, 게재된 학술지,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 사용된 공감 측정 도구, 연구 주제, 연구 대상의 연령에 따른 연구 논문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논문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정서·행동장애연구였으며, 연구 대상의 장애 유형과 연령은 지적 장애와 청각 장애,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다. 공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대인 반응성 지수였고, 장애인의 공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논문이 전체의 58.62%였다.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으로 특성 대 상태 공감의 관점을 제안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empathy in disabled people through domestic articles published in the past 20 years. A total of 29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19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articles by means of publication year, journals, types of disability, empathy measurement, research topic, age of subjects. The amount of research has increased since 2010. Most articles appeared i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Most studies conducted with subjects focused on hearing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has been used in the most studies. 58.62% of the whole study was about effects of empathy-enhancing program.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erms of trait versus state empathy distinc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28.2.202012.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