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 연구

이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남에 거주하는 1∼4학년 190명의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이었다.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을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해 KISE-BAAT를 사용하였으며, 쓰기 능력을 백분위수와 학력지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학년 아동들의 쓰기 능력은 평균(average)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 3, 4학년 아동들의 쓰기 능력은 평균 하(low average)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190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1; no. 3; pp. 101 - 113
Main Authors 유재연(Jae Yeon Yoo), 이효인(Hyo I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3.00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전남에 거주하는 1∼4학년 190명의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이었다.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을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해 KISE-BAAT를 사용하였으며, 쓰기 능력을 백분위수와 학력지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학년 아동들의 쓰기 능력은 평균(average)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 3, 4학년 아동들의 쓰기 능력은 평균 하(low average)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190명의 전체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능력은 평균 하 영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쓰기 지도에서 이들의 쓰기 수준을 어느 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bilities in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e-hundred-nine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KISE-BAAT was used to sample and analyze the writing abilities of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writing abilities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rresponded with the average. Second, the level of writing abilities of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rresponded to the low average. Finally, the level of writing abilities of 190 subjects was corresponding to low average. KCI Citation Count: 13
Bibliography:G704-000939.2012.21.3.003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2.21.3.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