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부문에서 블록체인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혁신저항 효과의 실증연구
블록체인은 우리의 미래를 급진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유망한 기술중의 하나로 지난 몇 년간 알려져 왔다. 블록체인을 여러 업무부문에서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도입은 예상보다 지체되고 있다. 최근에 학계에서는 블록체인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여러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현실적 제약을 감안한 연구가 아직은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블록체인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TOE 프레임워크에 의거하여 기술측면, 환경측면, 조직측면의 3가지 측면에서 독...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0; no. 4; pp. 783 - 795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783 |
Cover
Loading…
Summary: | 블록체인은 우리의 미래를 급진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유망한 기술중의 하나로 지난 몇 년간 알려져 왔다. 블록체인을 여러 업무부문에서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블록체인의 실질적인 도입은 예상보다 지체되고 있다. 최근에 학계에서는 블록체인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여러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현실적 제약을 감안한 연구가 아직은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블록체인 수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TOE 프레임워크에 의거하여 기술측면, 환경측면, 조직측면의 3가지 측면에서 독립변수를 도출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이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혁신저항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 도입 및 시험적용에 있어 가장 적극적인 금융부문의 종사자들로 부터 수집된 184부의 설문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For the last several years, blockchain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promising technologies that has a potential to radically change our futur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apply blockchain to a number of sectors, but its real use cases have not really come true yet. Recently the academia has proposed the various research models that deal with the factors for the acceptance of blockchain, but their academic performance needs to do more to tackle the realistic constraints. So our research is based on TOE framework, from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our research model are derived in terms of three aspects, i.e. technology,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in order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ccept blockchain. And then given these factors’ impa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blockchain, the mediating effects resulting from innovation resistance are analyzed. 184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working in the finance sector that has pioneered the adoption and the pilot-testing of blockchain, and are used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our research model. KCI Citation Count: 12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19.20.4.783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19.20.4.7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