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단위 접근법을 통한 알츠하이머 환자들의 조음 특성 분석

알츠하이머 초기에 나타나는 언어 문제들은 명명하기와 가벼운 문제들이며, 언어 산출의 조음, 음운 및 구문론적인 능력은 비교적 병의 마지막 단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는 언어 영역에서 환자마다 그 패턴과 병의 정도 그리고 병의 진행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반드시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들이 초기에 조음 문제를 지니지 않는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조음능력을 단어 단위 측정 영역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이들의 조음문제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단어 단위 측정 영역이 합리적임을 입증하는 데 그 목적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8; no. 1; pp. 117 - 127
Main Authors 박현(Hyun, Park), 김유경(Yu-Kyung, Kim), 석동일(Dong-Il, Se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1.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알츠하이머 초기에 나타나는 언어 문제들은 명명하기와 가벼운 문제들이며, 언어 산출의 조음, 음운 및 구문론적인 능력은 비교적 병의 마지막 단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는 언어 영역에서 환자마다 그 패턴과 병의 정도 그리고 병의 진행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반드시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들이 초기에 조음 문제를 지니지 않는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환자의 조음능력을 단어 단위 측정 영역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이들의 조음문제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단어 단위 측정 영역이 합리적임을 입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단어 단위적 분석은 단어 단위 정확률(PWC), 단어 단위 복잡률(PMLU), 단어 단위 근접률(PWP), 단어 단위 변이성(PWV)을 측정한다. 연구의 대상은 알츠하이머 환자 3명으로 이들의 치매심한정도(MMSE-K)는 평균 7점이였다. 세 명의 알츠하이머 환자의 단어 단위 정확률은 단단어에서 평균 0.95, 문장에서 평균 0.92, 단어 단위 복잡률은 단단어에서 평균 10.17, 문장에서 평균 9.88로, 단어 단위 근접률은 단단어에서 평균0.93였으며 문장에서 0.91로 나타났다. 이러한 평가로 초기의 알츠하이머 환자도 음운적 영향을 받음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이들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명료도와 관계 깊은 단어 단위적 접근을 사용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whole-word ability of Alzheimer's patients. A whole-word approach was applied to analyze the naming task and sentence task performance of three Alzheimer's patients. The paper argued that research focus must be broadened to include the study of whole-word production in Alzheimer's patients. To this end, four methods of looking at whole-words were proposed: the Proportion of Whole-word Correction (PWC), the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the Proportion of Whole-word proximity (PWP), and the Proportion of Whole-word Variability (PWV).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ree Alzheimer's patients showed PWC, PMLU, and PWP scores of 0.95, 10.17, and 0.93 respectively in whole-word naming tasks. In sentence naming tasks, the three subjects showed PWC, PMLU, and PWV score of 0.92, 9.88, and 0.91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939.2009.18.1.009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9.18.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