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세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의 관계

목적: 학령전기 아동의 담화 능력은 학령기의 언어 및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작업기억은담화 능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과 담화 능력을 관련 지어분석한 연구들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의 발달적 특성을 살펴보고, 연령에 따라 다양한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방법: 만 5세와 6세 일반 아동 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작업기억 과제(문장 따라 말하기, 비단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7; no. 1; pp. 29 - 43
Main Authors 김정아(Jung A Kim), 성지은(Jee Eun Sung), 김영태(Young Ta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8.27.1.003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학령전기 아동의 담화 능력은 학령기의 언어 및 학습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작업기억은담화 능력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과 담화 능력을 관련 지어분석한 연구들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의 발달적 특성을 살펴보고, 연령에 따라 다양한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방법: 만 5세와 6세 일반 아동 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작업기억 과제(문장 따라 말하기, 비단어 따라 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 판단/회상)와 2개의 담화과제(이해, 산출)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령에따라 작업기억 과제수행 능력은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판단/회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담화 능력은 담화이해율, IU율, T-unit수, 종속절률 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 간의 관계는 5세의 경우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판단/회상) 능력이, 6세의 경우에는 문장 폭 기억하기(회상) 능력이 담화이해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문장 수준의 작업기억 과제들은 처리와 저장을 동시에 하는 과제로 작업기억 능력의 발달적 차이를 나타내 주며, IU도5, 6세 아동의 담화산출 능력을 변별하는 변수가 될 수 있다. 학령전기 아동의 작업기억 능력과 담화 능력의발달적 차이 및 특성을 고려해서 평가와 중재를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Discourse abilities in preschoolers might be better predictors of their language abilities and academic success at a later stage. Working memory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scourse development. Only a few studies, however,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working memory and their discourse abilities.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of growth in working memory and discourse abilities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5 and 6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ethods: A total of 40 children (20 five-year-olds and 20 six-year-olds) were evaluated on the following working memory tasks: sentence repetition, non-word repetition,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s; and discourse abilitie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test and correlation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percentages of comprehension, IU (information unit), and subordinate clauses as well as the number of T-unit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units and in the percentages of sentence repetition, CLPT (judgement/recall), discourse comprehension, IU, and subordinate clauses, respectively. In the 5-year-old group, positive correlations were indicated among sentence repetition, CLPT (judgement/recall), and discourse comprehension. In the 6-year-old grou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LPT (recall) and discourse comprehensio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sentence-level WM tasks and IU might measure developmental abilities in working memory and discourse, and thus need to be included in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KCI Citation Count: 4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8.27.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