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수용모델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태도, 고객만족도,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맥락에서 기술수용모델의 적용과 고객의 수용의도를 예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급성장하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다 넓게,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태도 및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를 확장된 기술 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Vol. 30; no. 1; pp. 104 - 131
Main Authors 김재원(Jae-won Kim), 조아라(A-ra Ch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2.2022
인문사회과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0.1.202202.00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맥락에서 기술수용모델의 적용과 고객의 수용의도를 예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급성장하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다 넓게,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태도 및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를 확장된 기술 수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150명의 대학생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모형은 스마트 PL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각된 용이성’이 ‘태도’ 및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이 ‘태도’ 및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냈다. 넷째, ‘태도’가 ‘사용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도’ 및 ‘만족도’가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들의 클라우드 서비스 수용의도 예측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 있어 마케팅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의 TAM의 적용을 통해 사용자의 내재적 요인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 Research topics: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acceptance intention of cloud service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Research background: In the rapidly growing cloud computing services, it is important to scrutinized the customer ‘s attitude toward the cloud computing services and focused on the using inten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this study we aim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s attitude and their relationships. We extend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to consider the charateristics of cloud computing services. · Research method: Data were drawn from 150 university students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cloud service. Smart PL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PLS-SEM Algorithm model. · Research results: (1)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2) The relationship perceived ease of use and attitude a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he relationship perceived ease of use and customer satisfaction a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oo. (3) The relationship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a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the relationship perceived usefuln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are shown significantly positive(+) related. (4)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using intention are positively(+) related. (5) The customer attitude and satisfaction positively(+) related to continuous using intention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basis of positioning strategy for companies of cloud computing services.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0.1.20220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