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인의 교호운동 특성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인들의 교호운동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교호운동 특성은 Alternate Motion Rate(AMR, 교대운동속도) and Sequential Motion Rate(SMR, 연속(일련)운동속도) 과업의 속도, 규칙성, 정확성 및 일관성을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중도(moderate)의 심한정도를 나타내는 10-21세의 경직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8명, 여자 2명),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7명, 여자 3명) 및 실조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8명, 여자 2명)이었다. 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6; no. 1; pp. 37 - 53
Main Authors 남현욱(Hyun-Wook Nam), 안종복(Jong-Bok Ahn), 권도하(Do-Ha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7.16.1.0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인들의 교호운동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교호운동 특성은 Alternate Motion Rate(AMR, 교대운동속도) and Sequential Motion Rate(SMR, 연속(일련)운동속도) 과업의 속도, 규칙성, 정확성 및 일관성을 통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중도(moderate)의 심한정도를 나타내는 10-21세의 경직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8명, 여자 2명),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7명, 여자 3명) 및 실조형 뇌성마비인 10명(남자 8명, 여자 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MR 속도에서는 경직형 집단과 다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MR의 속도는 불수의운동형 집단과 경직형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AMR의 규칙성은 불수의운동형 집단과 다른 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MR의 속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호운동의 정확성은 모든 과업에서 불수의운동형 집단과 다른 집단 간에 유의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호운동 과업의 일관성은 SMR에서 불수의운동형 집단과 다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호운동 과업의 수행에 대한 속도, 규칙성, 정확성 및 일관성의 모든 측면에서 불수의운동형 뇌성마비인들은 경직형 및 실조형 뇌성마비인들과 차이가 있으며, 경직형 및 실조형 뇌성마비인들 간에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adochokinetic(DDK) characteristics in the persons with cerebral palsy(CP). The DDK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rough rate, regularity, accuracy, and consistency in Alternate Motion Rate(AMR) and Sequential Motion Rate(SMR) tasks. The subjects were 10 persons with spastic CP(8 males, 2 females), 10 persons with athetoid CP(7 males, 3 females) and 10 persons with ataxic CP(8 males, 2 females) from 10 to 21 years old with moderate sever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AM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astic group and the other groups, and the rate of SM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hetoid group and the spastic group. Second, the regularity of AMR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hetoid group and the other groups, the regularity of SM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ird, the accuracies of the DDK task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hetoid group and the other groups. Lastly, in the consistencies of the DDK tasks, the athetoid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other groups in SMR. In conclusion, the athetoid CPs were differences both spastic and ataxic CPs in the rate, regularity,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DDK tasks, an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spastic group and the ataxic group. KCI Citation Count: 9
Bibliography:G704-000939.2007.16.1.002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07.16.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