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 문화역량 개발 방안: 안동지역의 문화공간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 연구 주제: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주도할 청소년의 문화역량 개발을 위하여 안동의 전통문화공간을 활용한 체험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의 문화역량 개발을 위한 학교교육에서 체계적인 교과와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천과 관련되는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통문화공간 체험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공간과 자원을 보유한 안동(安東) 지...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Vol. 29; no. 2; pp. 60 - 8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8.2021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 연구 주제: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주도할 청소년의 문화역량 개발을 위하여 안동의 전통문화공간을 활용한 체험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청소년의 문화역량 개발을 위한 학교교육에서 체계적인 교과와 연계된 문화예술교육의 이론과 실천과 관련되는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통문화공간 체험을 통한 문화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공간과 자원을 보유한 안동(安東) 지역을 대상으로 청소년 문화역량 강화를 위하여 지역의 문화공간과 문화유산의 바람직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 연구방법: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문화역량 및 문화공간을 활용한 국내·외의 연구 동향 분석, 안동지역의 전통 문화자원에 대한 실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연구결과: 청소년의 문화역량 개발을 위한 문화공간 체험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예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지역사회의 전통문화공간을 활용한 청소년의 문화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천 가능성은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 Research topics: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design a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traditional cultural space of Andong located in the northern region of Gyeongsangbuk-do, and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ies of youth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related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linked to systematic subjects in schoo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y of youth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is in its infancy. Therefore, research on ways to strengthen cultural competency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space experience is request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set for the Andong region, which has traditional cultural spaces and resources unique to Korea. In order to reinforce youth's cultural competence,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desirable use of local cultural spaces and cultural heritages.
·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t was mainly considere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using cultural competence and cultural space,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 Andong.
· Research results: It was developed and illustrated that a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cultural space experiences for youth cultural competency developme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site through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youth cultural competency reinforcemen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al space of the local communit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29.2.202108.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