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자원의 비타민 D 함량 모니터링

LC-MS/MS를 이용하여 국내 식품자원 237종(식물성 식품자원 101종, 동물성 식품자원 34종, 가공식품 102종)의 비타민 D 함량을 분석한 결과, 24종에서 비타민 D가 0.28~ 1270.30 μg/100 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식물성 식품자원 101종 중 5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28~1270.30 μg/100 g 수준이었다. 동물성 식품자원 34종 중 15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57~9.72 μg/100 g 수준이었다. 가공식품 102종 중 4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31~0.94 μg/100 g 수준이었다. 비타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1; no. 5; pp. 419 - 427
Main Authors 임창완(Chang Wan Lim), 이준엽(Jun Yeop Lee), 정광은(Kwang Eun Jung), 원종은(Jong Eun Won), 곽병만(Byung-Man Kwak), 이기웅(Ki Woong Lee), 박진주(Jin Ju Park), 이상훈(Sang Hoon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5.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LC-MS/MS를 이용하여 국내 식품자원 237종(식물성 식품자원 101종, 동물성 식품자원 34종, 가공식품 102종)의 비타민 D 함량을 분석한 결과, 24종에서 비타민 D가 0.28~ 1270.30 μg/100 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식물성 식품자원 101종 중 5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28~1270.30 μg/100 g 수준이었다. 동물성 식품자원 34종 중 15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57~9.72 μg/100 g 수준이었다. 가공식품 102종 중 4종에서 검출되었으며 0.31~0.94 μg/100 g 수준이었다. 비타민 D2가 검출된 것은 237종 중 8종으로 꽃송이버섯 자연건조에서 1,270.30 μ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D3가 검출된 식품은 17종이고, 건조 오징어 생것에서 9.72 μ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Contents of vitamin D were analyzed by LC-MS/MS in 237 domestic foods in Korea. SRM 1849a was used as the quality control for the experiment. Vitamin D was detected only in 24 of the 237 foods, ranging from 0.28 to 1,270.30 μg/100 g in content. These include 5 of the 101 vegetable foods (0.28 to 1,270.30 μg/100 g), 15 of the 34 livestock and seafood (0.57 to 9.72 μg/100 g), and 4 of the 102 processed foods (0.31 to 0.94 μg/100 g) examined. Vitamin D2 was detected in 8 of the 237 foods, and naturally dried cauliflower mushroom was determined to have the maximum content of vitamin D2 (1,270.30 μg/100 g). Vitamin D3 was detected in 17 of the 237 foods, with dried Japanese flying squid having the highest content (9.72 μg/100 g).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results that can be used to update the Korea Food Composition Tabl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2.51.5.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