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 형태 분석에 있어 단어에 대한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 연구

본 연구는 말더듬 행동을 형태분석 할 때, 단어전체반복이란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언어샘플은 발달성 성인 말더듬인 70명이 나타낸 3,129개의 말더듬 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형태 분석에 따른 분석 A 방법과 단어부분반복에서 의미가 있는 최소의미단어를 더듬은 것을 단어전체반복으로 분류한 분석 B를 비교하였다. 분석 A와 분석 B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분석 A 및 B에서 단어전체반복, 단어부분반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단어부분반복에서 의미를 가진 단어반복을 빼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9; no. 1; pp. 119 - 128
Main Author 권도하(Do Ha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3.201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1.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말더듬 행동을 형태분석 할 때, 단어전체반복이란 개념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언어샘플은 발달성 성인 말더듬인 70명이 나타낸 3,129개의 말더듬 행동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형태 분석에 따른 분석 A 방법과 단어부분반복에서 의미가 있는 최소의미단어를 더듬은 것을 단어전체반복으로 분류한 분석 B를 비교하였다. 분석 A와 분석 B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분석 A 및 B에서 단어전체반복, 단어부분반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단어부분반복에서 의미를 가진 단어반복을 빼서, 단어전체반복으로 판단해도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는 어절단위에서 조사를 뺀 의미를 가진 단어를 반복할 경우, 이를 단어전체반복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tend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whole word repetition in which we analyze stuttering behaviors according to topographical analysis. Speech samples were taken from 70 adult subjects who showed a severity level over moderate. Method A was based on whole word repetition (Korean grammar calls it eojeol (어절)) by the traditional methods. Method B was based on morphological units even in azul. Korean has morphological units and grammatical units in the same word when it used in a sentence. The author suggests that we can judge partial word repetition which has morphological unit as a whole word repetition even if it is only part of a word.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939.2010.19.1.014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0.19.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