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한국전쟁 소설에 나타난 국가서사
이 논문은 북한이 1950년~ 2000년 사이에 창작된 한국전쟁 주제 소설을 묶은 단편소설집《조국해방전쟁승리를 위하여》1-4에 실린 소설 62편을 분석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 주제 소설에 나타나는 획일성과 도식성에도 다른 층위가 있음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북한소설이 욕망과 충심경쟁이 전체로 환원되며 개별적인 가족이 아닌 국가단위의 가족으로 수렴된다는 편견을 제고해 보고자하였다. 이 소설의 분석을 위해 『조선문학』 1950.7~ 2010까지 실린 한국전쟁 주제 소설과 「조선단편집」 그리고 기타 단편집에...
Saved in:
Published in | 외국문학연구 no. 66; pp. 9 - 3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01.05.2017
외국문학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444X 2671-8308 |
DOI | 10.22344/fls.2017.66.09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북한이 1950년~ 2000년 사이에 창작된 한국전쟁 주제 소설을 묶은 단편소설집《조국해방전쟁승리를 위하여》1-4에 실린 소설 62편을 분석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쟁 주제 소설에 나타나는 획일성과 도식성에도 다른 층위가 있음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 작품들을 통해 북한소설이 욕망과 충심경쟁이 전체로 환원되며 개별적인 가족이 아닌 국가단위의 가족으로 수렴된다는 편견을 제고해 보고자하였다.
이 소설의 분석을 위해 『조선문학』 1950.7~ 2010까지 실린 한국전쟁 주제 소설과 「조선단편집」 그리고 기타 단편집에 실린 소설 100여 편을 검토 참조하여, 직업군과 주제를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서사와 개인서사의 대결 속에 나타나는 균열과 분열, 떨림과 동요를 살펴보고자했다. This thesis analyzes 62 novels included in a collection of novels, 《For the sake of victory in the Great Fatherland Liberation War》 1-4, which binds Korean war-themed novels written from 1950 to 2000 by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aspects on uniformity and schematism seen in the Korean War-themed novels. Through these work, it is intended to raise prejudice presented in North Korean novels that personal desires and loyalty competitions were converted to the whole nation and were converged to family-state, rather than individual family. For the analysis of this novel, the author has reviewed and referred to Korean War-themed novels from July 1950 to 2010 in the 『Joseon Literature』, 『Collection of Joseon Short Stories』, and more than 100 novels in other collections and classified occupations and subjects so as to examine the confrontation between national narrative and personal inner spa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444X 2671-8308 |
DOI: | 10.22344/fls.2017.6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