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미사 ‘-자’(者)와 ‘-인’(人)의 선택 요인
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을 ‘당선자’로 부르는 것이 맞는지 ‘당선인’으로 부르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이에 관해 국어사전들이 제시하는 설명은 언중들의 요구에 비해 충분히 상세하지 않다. 그래서 국민들은 혼란에 빠져 있다. 사전학이 이러한 상황 해결에 기여할 수 없을까? ‘-자’(者)와 ‘-인’(人) 사이의 선택을 결정하는 어법이라 칭할 만한 어떤 경향성이 있지 않은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명사를 어기로 하여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파생어를 형성하...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사전학 no. 39; pp. 134 - 16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사전학회
01.05.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94 2671-5546 |
DOI | 10.33641/kolex.2022..39.134 |
Cover
Summary: | 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을 ‘당선자’로 부르는 것이 맞는지 ‘당선인’으로 부르는 것이 맞는지에 대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런데 이에 관해 국어사전들이 제시하는 설명은 언중들의 요구에 비해 충분히 상세하지 않다.
그래서 국민들은 혼란에 빠져 있다. 사전학이 이러한 상황 해결에 기여할 수 없을까? ‘-자’(者)와 ‘-인’(人) 사이의 선택을 결정하는 어법이라 칭할 만한 어떤 경향성이 있지 않은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에서 명사를 어기로 하여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파생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접미사 ‘-인’과 ‘-자’ 중 하나를 결합시킬 때 이를 선택하도록 하는 원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선행하는 어기에 분포하는 명사의 부류를 분석하고, 각 접미사가 각 어기와 결합하여 형성하는 파생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이 작업의 결과, 접미사 ‘-자’와 ‘-인’의 의미를 각각 4개와 3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두 접미사의 분포는 상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이를 토대로 각각의 의미를 기술하고 그 의미를 산출하는 조건인 어기의 분포적 속성도 함께 제시하면서 각 접미사의 사전 항목을 기술해 보았다. Controversy continues as to whether it is correct to name the president-elect ‘당선자’ or ‘당선인’. However, the explanations provided by Korean dictionaries are not sufficiently detailed compared to users' demands of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Therefore, people are confused. Can lexicography not contribute to resolving this situation? We wanted to find out if there is a tendency that can be said to be a usage that determines the choice between ‘-ja’(-자, 者) and ‘-in’(-인 人), and if so, what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inciple of selecting one of the suffixes ‘-in’ and ‘-ja’ when combining one to form a derivative word representing ‘a person who does ∼’.
We analyzed the class of nouns distributed in the preceding word and the meaning of the derived word formed by combining the preceding word with each suffix. As a result of this work, the meanings of the suffixes ‘-ja’ and ‘-in’ could be divided into 4 and 3,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the two suffixes appeared to be complementary. Based on this result, we described each meaning and elaborated the dictionary articles of each suffix while also presenting the distributional properties of base, which is the condition for producing the meaning.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694 2671-5546 |
DOI: | 10.33641/kolex.2022..39.1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