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 분해와 합성 유창성 및 기본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아동의 기본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7세 아동 4명이 참여하였으나, 국가재난상황 및 질병을 이유로 2명이 탈락되어 최종 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를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의 주요 교수 내용은 수의 합성과 분해 활동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방법으로는 CSA와 직접교수 등을 활용하...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6; no. 1; pp. 177 - 20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4.2020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아동의 기본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7세 아동 4명이 참여하였으나, 국가재난상황 및 질병을 이유로 2명이 탈락되어 최종 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를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의 주요 교수 내용은 수의 합성과 분해 활동으로 이루어졌고, 교수 방법으로는 CSA와 직접교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증거기반교수를 활용한 수감각 프로그램은 대상 아동 모두에게 수감각 유창성과 기본 연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가 현장에 주는 시사점, 연구 결과의 제한 및 추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number sense improvement program using of evidence-based instruction on number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fluency and basic facts of students at-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In this study, a multipl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mber sense program with four students at-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e contents of the number sense program us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were composed of the number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activities, CSA(Concrete level-Semiconcrete level-Abstract level) and direct instruction were used as teaching methods.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number sense program us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subject children's ability to automate of number sense and basic facts. Conclusion:: Suggestions 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on the site, restriction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0.04.36.1.1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