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이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게임 시장에서 이례적인 흥행을 거둔 콘솔 게임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하 모동숲)’의 사용자 경험에 접근해서, COVID-19라는 환경적 영향력과 모동숲간의 관계성을규명하고자 했다.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모동숲 이용자의 인지된 유용성(PU)과 인지된이용용이성(PEOU)이 게임 만족도 및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력, 이용 태도와 향후 이용 의사와의관계성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PU의 경우, 모동숲의 꾸미기 요소는 힐링 효과를 발생시켰으며, 모집단의 과반수 이상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7; no. 2; pp. 71 - 8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게임 시장에서 이례적인 흥행을 거둔 콘솔 게임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하 모동숲)’의 사용자 경험에 접근해서, COVID-19라는 환경적 영향력과 모동숲간의 관계성을규명하고자 했다. 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모동숲 이용자의 인지된 유용성(PU)과 인지된이용용이성(PEOU)이 게임 만족도 및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력, 이용 태도와 향후 이용 의사와의관계성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PU의 경우, 모동숲의 꾸미기 요소는 힐링 효과를 발생시켰으며, 모집단의 과반수 이상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임 활동을 공유했다.
PEOU의 경우, 모집단은 모동숲의 기술적 발전(그래픽, 사운드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게임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몰입도는 향후 이용 의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COVID-19와모동숲의 성공 간 유의미한 관계성이 도출되었으나, 다른 장르 및 플랫폼의 게임에서의 적용 가능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Using the TA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OU) of the Animal-Crossing users on game satisfaction(DOS), immersion(DO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ttitude and intention through the google online survey. The decorative elements of the game generate a healing effect and more than half of the survey participants share game activities with the online community in terms of PU. In the case of PEOU, the survey participants positively evaluate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such as graphics and sounds of the game.
In addition, both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nd immersion in the game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intention for replaying the game and intention for recommending the game to othe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849X 2383-9945 |
DOI: | 10.9708/jksci.2022.27.02.0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