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호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간호윤리 교육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 후 효과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검색은 2020년 7월 시행하였으며, 국내⋅외 학술지 게재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어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출판년도는 최근 10년간 (2010-2020년)으로 제한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실험연구 25편, 비실험연구 13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교육방...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8; no. 2; pp. 164 - 177
Main Authors 이영진(Lee, Youngjin), 유소영(Yu, Soyoung), 김미영(Kim, Miyoung), 노원정(Noh, Wonjung), 유미(Yu, Mi), 정유미(Jung, Yoom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간호행정학회 01.03.2022
간호행정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9330
2288-4955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간호윤리 교육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한 후 효과적인 간호윤리 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자료검색은 2020년 7월 시행하였으며, 국내⋅외 학술지 게재 문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외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어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출판년도는 최근 10년간 (2010-2020년)으로 제한하였다. 연구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실험연구 25편, 비실험연구 13편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교육방법은 강의, 토론, 상황극, 간호윤리와 관련된 영화 활용 수업, 액션러닝, 사례기반 학습 등 다양하였다. 12편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윤리교육은 생명의료윤리의식, 비판적 사고성향,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민감성에서 유의한 효과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한 하위그룹 분석 결과, 생명윤리의식은 강의 및 토론과 함께 타교수법을 혼용한 연구와 강의 및 토론만 제공한 연구가 효과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학생 및 간호사를 위한 윤리교육은 윤리와 관련된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강의 및 토론 이외의 다양한 교수방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identify trends in nursing ethics education research for Korea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Methods: The data search was conducted in July 2020;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were targeted for the search. A combination of search terms was entered into major databases, and the year of publishing was limited to the last 10 years (2010–2020). Results: The systematic review analyzed 25 experimental and 13 non-experimental studies, and education methods included lectures, discussions, role play, film-use classes related to nursing ethics, action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The meta-analysis of 12 studies revealed that ethical educ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size of biomedical ethics, critical thinking, moral judgment, and moral sensitivity. A subgroup analysis of education methods showed that in addition to traditional lecture and discussion education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 of sense of biomedical ethics between the following two methods: lecture and discussion including additional methods and lecture and discussion only. Conclusion: Ethics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ethics-related competenci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other than lectures and discussions must be utilized.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