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방과후 검도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검도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보완 및 병행해야할 요인을 찾아 비만 예방과 체력 향상을 도모하며, 나아가 방과 후 초등학교 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및 발전 방향과 종목별 방과 후 체육 프로그램 효과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5학년 남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주 2회의 검도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시작일과, 8주 후, 실험 16주 후인 실험 종료일 총 3회에 걸쳐 신체조성 및...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19; no. 1; pp. 59 - 68
Main Authors 박지훈(Ji-hoon Park), 김영학(Young-hak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7.19.1.00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검도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및 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보완 및 병행해야할 요인을 찾아 비만 예방과 체력 향상을 도모하며, 나아가 방과 후 초등학교 검도 프로그램 활성화 및 발전 방향과 종목별 방과 후 체육 프로그램 효과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4·5학년 남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주 2회의 검도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시작일과, 8주 후, 실험 16주 후인 실험 종료일 총 3회에 걸쳐 신체조성 및 체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R Studio 1.0.1 for Ma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wo-way(2(RG)×3(RM)) ANOVA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질량지수, 심폐지구력, 유연성에서는 16주간의 초등학교 방과 후 검도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심폐지구력과 유연성은 두 집단 모두 실험 시작일로부터 종료일까지의 유의한 차이는 있었다. 체질량지수의 하위요인인 신장과 체중을 비교·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실험시작일로부터 종료일까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근지구력과 순발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실험시작일로부터 종료일까지 유의한 차이는 나타났고, 16주간의 초등학교 방과 후 검도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 초등학교 방과 후 검도프로그램에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근지구력, 순발력에서 우수한 발달 결과를 보여줬으며 성장기 아동의 검도수련은 이들 변인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체질량지수와 심폐지구력, 유연성을 보완할 수 있는 운동을 병행하면 초등학교 아동의 성장에 매우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how kumdo influences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it looks into how kumdo may prevent obesity and improve physical health.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provide information on why kumdo should be promoted as an after-school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research took samples from 4th and 5th grade boys on three different instances. These boy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ose participating in the kumdo program and those who are not. This research uses the R Studio 1.0.1 statistics software to analyze and test sample data. In order to assess kumdo's effect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wo-way(2(RG)3(RM)) ANOVA was utilized three times in the beginning, mid-point, and at the end of kumdo training. The subsequent paragraphs provide a summary of this research.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ents' body mass index,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flexibility for all students, including kumdo and non-participating students. Both groups of students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ir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flexibility as they are growing students. Second, the both groups have shown improvements in muscular endurance and reflex action after 16 weeks, and the kumdo students experienced notable improvements in these areas compared to non-participating students. The kumdo students had outstanding development of muscular endurance and reflex action. kumdo training has shown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children's physical growth. In conclusion, in the future, this research could be expanded by examining a bigger sample group, which will result in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nother research idea includes examining effects of physical fitness of students who train kumdo as well as other sport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1680.2017.19.1.005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7.19.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