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및 불안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S시에 소재하는 2개의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기 위해 내원한 임부 20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불안, 교육수준, 사회적 지지, 결혼생활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적영향을 미치지만, 불안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Vol. 29; no. 2; pp. 140 - 148
Main Authors 김현정(Hyun Jung Kim), 강희순(Hee Sun K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6.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및 불안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S시에 소재하는 2개의 산부인과에서 산전진찰을 받기 위해 내원한 임부 20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불안, 교육수준, 사회적 지지, 결혼생활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적영향을 미치지만, 불안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계획할 때 불안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f pregnant women and to determine their effe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A total of 202 pregnan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A/IC 15.1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were identified as anxiety, educational level,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β=0.27, p< .001), but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β=−0.56, p<.001). Conclusions: When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gnant women, strategies for lowering the anxiety and improving the social support of pregn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KCI Citation Count: 1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1.29.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