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어떤 선생님인가?’라는 보고서(Report)를 연구 제공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최종 수집된 자료는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18명의 예비교사와 통합교육 현장에 참관 경험이 있는 2명의 예비교사의 보고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제 분석 및 유목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특수교육논총 Vol. 34; no. 2; pp. 1 - 24
Main Author 박재범(Park, Jae Beo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12.2018
특수교육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18.12.34.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소속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을 분석하여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은 어떤 선생님인가?’라는 보고서(Report)를 연구 제공자에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 최종 수집된 자료는 중등학교 시절에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18명의 예비교사와 통합교육 현장에 참관 경험이 있는 2명의 예비교사의 보고서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주제 분석 및 유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원의 예비교사가 희망하는 특수학급 교사상의 결과는 첫째, ‘전문지식을 가진 선생님’ 둘째, ‘의사소통이 원활한 선생님’ 셋째, ‘인격이 형성된 선생님’ 넷째, ‘사랑이 넘치는 선생님’ 다섯째, ‘적응력이 뛰어난 선생님’ 여섯째, ‘인내심을 가진 선생님’으로 밝혀졌다. 결론: 종합적으로 볼 때 통합교육에서의 바람직한 특수교사는 지성, 감성, 인성 등의 역량과 자질을 갖추고 통합교육에 헌신하며 실천하는 선생님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는 몇 가지의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a special teacher who is pre-service teacher of a graduate school and present basic data on the image of a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er asked the preliminary teacher to write the report. Method: The report was selected by 20 pre-service teacher who take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subject analysis and nomi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e is a teacher with expertise. Second, communication is a smooth teacher. Third, the character is a teacher who is formed. Fourth, a loving teacher. Fifth, the teacher is highly adaptable. Sixth, I am a patient teache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desirable special teacher in integrated education ended up being a teacher who was dedicated to and practice inclusive education with the ability and qualifications of intelligence, emotion, and personality. And These studies identified limitations and limitations of several studies and suggested follow-up studies. KCI Citation Count: 4
ISSN:2466-1872
2672-104X
DOI:10.31863/JSE.2018.12.3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