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차원적인 성인 말더듬 중재를 위한 고찰

목적: 말더듬 성인을 중재할 때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해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언어치료 분야의 말더듬 중재에서 내면적 중재를 포함한 연구가 7편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연구들을 소개하고 고찰하여 다차원적인 말더듬 치료 접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대상 연구 7편(그룹 치료가 말더듬 성인의 유창성과 말더듬에 대한 태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 행동인지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말더듬인의 유창성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자아증진이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인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9; no. 1; pp. 23 - 31
Main Authors 허도련(Do Ryeon Heo), 김화수(Wha S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말더듬 성인을 중재할 때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해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언어치료 분야의 말더듬 중재에서 내면적 중재를 포함한 연구가 7편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연구들을 소개하고 고찰하여 다차원적인 말더듬 치료 접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 대상 연구 7편(그룹 치료가 말더듬 성인의 유창성과 말더듬에 대한 태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 행동인지 말더듬 치료 프로그램이 성인 말더듬인의 유창성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자아증진이 말더듬 성인의 말더듬 인지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게슈탈트 치료가 유창성장애성인의 말더듬 행동 및 자각에 미치는 효과, 말더듬재발성인을 위한 이야기치료가 상태불안 및 말더듬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말더듬인과 속화인을 위한 유창성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수용·전념 치료를 활용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집하여 해당 연구들의 치료 모형과 내용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결과: 대상 연구들의 연구 모형과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해당 프로그램은 각각의 장점이 존재하고 있고, 이러한 장점들은 말더듬 성인 중재에서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 말더듬은 다차원적인 요인이 결합되어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말더듬에 관한 행동주의적인 접근과 더불어 인지·심리적 상담 능력 또한 요구된다. 언어치료사가 말더듬 치료를 할 때 이러한 모든 부분을 숙달하여 접근하기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본 논문을 통해 말더듬 성인 치료 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intervention of stuttering adults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onsiders various factors. Currently, there are seven types of stuttering behavior intervention studies in Korea, excluding stuttering behavior approach. 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to multi-dimensional stuttering behavior treatment approach by introducing and considering those studies. Methods: The seven corresponding research papers (group therapy, behavioral cognitive stuttering therapy, self-concept promotion, gestalt therapy, narrative therapy, fluency monitoring program, an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were collected an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nts components were examined. Results: Group therapy, behavioral cognitive stuttering therapy, self-concept promotion, gestalt therapy, narrative therapy, fluency monitoring program, an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were each found to have of their own advantages and such advantages can be us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when intervening on stuttering adults. Conclusion: Stuttering is a phenomenon where multi-dimensional factors are combined. To approach such phenomenon, a behavioral approach to stuttering and cognitive·psychological counseling ability are required. It is difficult for a speech therapist to approach stuttering therapy with the skill of every such point.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applying an appropriate program to subject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when treating stuttering adult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dx.doi.org/10.15724/jslhd.2020.29.1.023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20.2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