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지안 추정(Bayesian Estimation)을 활용한 정신력 (Mental Toughness)의 개념구조 확인 및 한국어척도 개발

이 연구는 Gucciardi, Hanton, Gordon, Mallett & Temby(2015)가 개발한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Mental Toughness Inventory; MTI)가 국내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는 자기신념(self-belief), 주의조절(attention regulation), 정서조절(emotion regulation), 성공설정(success mind-set), 상황지식(context knowledge), 회복력(buoyancy), 낙관주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0; no. 4; pp. 15 - 31
Main Authors 송용관(Yong-gwan Song), 김태규(Tae-gyu Kim), 최형준(Hyongjun Choi), 황승현(Seunghyun Hw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1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Gucciardi, Hanton, Gordon, Mallett & Temby(2015)가 개발한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Mental Toughness Inventory; MTI)가 국내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는 자기신념(self-belief), 주의조절(attention regulation), 정서조절(emotion regulation), 성공설정(success mind-set), 상황지식(context knowledge), 회복력(buoyancy), 낙관주의(optimism) 등 7가지 요인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차원적 정신력 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에 소속된 156명의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7요인 21문항에 대한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베이지안 추정 방법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신력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 적합한 요인부하량 및 타당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베이지안 추정 결과에서도 정신력 척도는 우수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향후 한국형 다차원적 정신력 척도는 국내 운동선수들의 정신력을 진단하고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정신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및 결과변인에 대한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 연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mental toughness inventory (K-MTI). K-MTI consists of seven factors with 21 items—namely, self-belief (3 items), emotion regulation (3 items), attention regulation (3 items), success mind-set (3 items), context knowledge (3 items), buoyancy (3 items) and optimism (4 items). One hundred fifty-six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alidate 21-item seven-factor K-MTI in sport context. The K-MTI demonstrated good internal validity,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ayesian estimation was used to test factorial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 results, K-MTI showed good factorial validity by structuring seven dimensions of multiple mental toughness. Overall, the Korean version of MTI demonstrated good internal,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The conceptualization of multiple MTI is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directions are made concerning the usage of the K-MTI in the sport context. KCI Citation Count: 2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18.20.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