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전념 치료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적: 말더듬 성인은 오랜 시간 말더듬을 경험하여 구어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궁극적으로 말더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말더듬을 직면하고 수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수용․전념 치료(ACT)는 원치 않는 사적 경험에 대한 경험 회피가 고통의 원인으로 보고, 이에 대처할 올바른 자세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ACT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 4명을 대상으로 ACT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말더듬 성...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5; no. 1; pp. 23 - 3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6.25.1.003 |
Cover
Summary: | 목적: 말더듬 성인은 오랜 시간 말더듬을 경험하여 구어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 궁극적으로 말더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말더듬을 직면하고 수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수용․전념 치료(ACT)는 원치 않는 사적 경험에 대한 경험 회피가 고통의 원인으로 보고, 이에 대처할 올바른 자세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ACT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성인 4명을 대상으로 ACT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말더듬 성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내면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심리적 안녕감 척도, 수용․행위 질문지, 자아 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말더듬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읽기, 독백, 대화 상황에서 구어 샘플을 수집하여 말더듬 빈도(SW/M)를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성인에게 ACT에 기반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내면적 특성에서 심리적 안녕감 척도, 수용․행위 질문지, 자아 효능감 척도 점수가 향상되었다. 말더듬 행동에서 말더듬 빈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수용․전념 치료를 활용한 의사소통중재 프로그램이 말더듬인의 내면적 특성과 말더듬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 말더듬 성인에게서 내/외적으로 본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말더듬인이 말더듬을 직면하고 수용하도록 하는 것에 본 프로그램이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치료 프로그램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때는 기존의 말더듬 치료 접근법과 더불어 본 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재한다면 말더듬인이 말더듬을 극복하도록 하는데 있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Purpose: Stuttering adults are anxious about spoken language because they have been stuttering for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confront and accept stuttering in order to overcome stuttering fundamentally.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sees avoidance of unwanted personal experience as a reason for pain and suggests a proper attitude to deal with 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 ACT-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the inner characteristics and stuttering behavior of adult stutterers. Methods: Four adult stutterers were recruited for an ACT-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Its effects on their inner characteristics and stuttering behavior was then analyzed. To measure psychological aspects,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 and a Self-efficiency Scale were used. To evaluate changes in stuttering behavior, oral samples were collected in reading, monologue, and dialogue situations and stuttering frequency (SW/M) was analyzed using these sample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CT-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ttering adults, scor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and Self-Efficacy Scale for adult stutters improved for internal characteristics. In stuttering behavior, the stuttered words per minute de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ACT-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stutterers'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stuttering behavior. Conclusions: This program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for adult stutterers. In particular, this program is helpful when a stutterer faces stuttering and accepts it. Therefore, when applied to clinical treatment programs, it can be surmised that stuttering intervention using this program along with traditional stuttering therapy would be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approach.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G704-000939.2016.25.1.014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6.2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