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본 연구는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L-132 및 3T3-L1 세포를 이용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9.31~35.04 g/100 g, 9.30~26.13 g/100 g, 12.58~36.82 g/100 g 및 26.54~141.73 mg/L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당 함량은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9; no. 11; pp. 1184 - 1193
Main Authors 구율리(Yul Ri Gu), 홍주헌(Joo-Heon 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1.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화학적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L-132 및 3T3-L1 세포를 이용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아사이베리 착즙액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및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각각 9.31~35.04 g/100 g, 9.30~26.13 g/100 g, 12.58~36.82 g/100 g 및 26.54~141.73 mg/L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당 함량은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아사이베리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및 효소 저해 활성은 모두 1,000 µg/mL 농도에서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L-132 세포를 이용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재생 효과는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1,000 µg/mL)에서 93.93 ±0.74%로 가장 우수한 세포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3T3- L1 세포를 이용한 중성지방 함량 및 free glycerol 함량 또한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1,000 µg/mL)에서 각각 58.08 ±0.81%, 34.86±0.02%로 가장 낮은 지방구 염색 및 free glycerol 함량을 확인하였다. 3T3-L1 세포 내 포도당 흡수능은 인슐린 무처리군보다 인슐린 처리군에서 더 높은 포도당 흡수능을 나타냈고, 인슐린 처리군 중 아사이베리 열수 추출물(1,000 µg/mL)에서 85.86±0.58%로 가장 높은 포도당 흡수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아사이베리 착즙액 및 추출물의 다양한 세포 내 기전을 통해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사이베리 착즙액 역시 향후 항산화 및 항비만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acai berry juice and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otal sugar contents of AHE (hot-water extract of acai berry) were 35.04 g/100 g, 26.13 g/100 g, and 36.82 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anthocyanin content of AEE (70% ethanol extract of acai berry) was 141.73 mg/L.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AHE at 1,000 μg/mL were 59.40%, 83.10%, and 2.03 mM, respectively. The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HE at 1,000 μg/mL were 84.03%, 92.10%, and 31.85%, respectively. AHE had better regeneration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L-132 cells than the other extracts. Furthermore, AHE suppressed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id accumulation, and the free glycerol content, and triggered lipolysis on MDI treated 3T3-L1 preadipocytes. Thus, in addition to AHE and AEE, AJ also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s adipocyte in 3T3-L1 cells, resulting in reduced lipid accumulation, reduced free glycerol release, and increased glucose uptake.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0.49.11.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