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화성인과 말더듬성인의 비유창성 비교

본 연구는 유창성장애 가운데 속화와 말더듬의 비유창성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실제에서 두 장애를 감별하고, 비유창성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속화성인 9명과 말더듬성인 15명을 대상으로 읽기, 대화,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을 통해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별 비율, 구어속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속화성인과 말더듬성인은 속화예측검사와 유창성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비유창성의 빈도는 대화와 이야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0; no. 4; pp. 177 - 196
Main Authors 박진원(Jin Won Park), 권도하(Do Ha Kwon), 김화수(Wha S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12.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1.20.4.010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유창성장애 가운데 속화와 말더듬의 비유창성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실제에서 두 장애를 감별하고, 비유창성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속화성인 9명과 말더듬성인 15명을 대상으로 읽기, 대화,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을 통해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별 비율, 구어속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속화성인과 말더듬성인은 속화예측검사와 유창성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준에 부합하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비유창성의 빈도는 대화와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비유창성 유형별 비율 가운데 속화성인 집단은 단어전체반복 및 정상적인 비유창성 비율이 높게 산출되었고, 말더듬성인 집단은 투쟁과 단어부분반복과 같은 병리적인 비유창성 비율이 높게 산출되었다. 셋째, 두 집단의 구어속도는 각 구어과업에서 전체구어속도와 조음속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속화인은 말더듬인과 비교하여 구어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며, 비유창성의 빈도는 구어과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비유창성 유형으로 정상적인 비유창성을 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속화인과 말더듬인의 감별뿐만 아니라 속화치료계획 수립을 위해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for clutterers and stutterers. Through completing reading tasks, conversation tasks and story retelling tasks with nine cluttering adults and 15 stuttering adults, the characteristics of disfluency were examined. Firstly, disfluency frequ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versation and story retelling tasks. Secondly, in the disfluency type, the cluttering adults group frequently produced normal disfluency. The stuttering adults group frequenlty produced pathologic abnormal disfluency. Thirdly, in comparing the speech rate of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in the reading, conversation and story retelling tasks. Ultimately, this study hopes to distinguish cluttering and stuttering and to supply fundamental data to develop the cluttering assessment tools. Furthermore, through supplying fundamental data to develop a program for cluttering therapy, help clutterers to acquire fluency.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0939.2011.20.4.006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1.20.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