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 동반된 견관절 탈구의 치료 및 술 전 자기공명영상의 상완골두 탈중심화

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4; no. 5; pp. 418 - 426
Main Authors 이봉주(Bong-Ju Lee), 송인수(In-Soo Song), 차기훈(Kihun Cha)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10.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9.54.5.41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고령의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상완골두 탈중심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견관절 불안정성 및 치료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5세 이상의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회전근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A군과 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의 45명, 45견관절 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각각 73.2세, 72.1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30.7개월, 31.3개월이었다. A군의 21예(46.7%)에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만을 시행 받았고 8예(17.8%)에서 회전근 개 봉합술과 함께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을 시행 받았다. 16예(35.6%)에서 회전근 개 파열 관절병증으로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았다. B군의 45예(100%)에서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저자들은 두 군의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을 측정하였다. 두 군의 시각통증등급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 및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점수가 각각 분석되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상완골두 중심부이탈은 평균 후방 7.41 mm와 평균 후방 2.02 mm (p=0.03)였고, 상완골두 상승은 평균 상방 6.66 mm와 평균 상방 2.44 mm (p=0.02)였다. A군과 B군의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32.8점과 평균 33.4점에서 술 후 평균 77.1점(p=0.02)과 78.1점(p=0.02)이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8). UCLA 점수는 술 전 평균 13.1점과 12.8점에서 술 후 평균 28.9점(p=0.02)과 29.5점(p=0.01)으로 향상되었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 결론: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대파열 및 광범위 파열에서 견관절 탈구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술 전 자기공명영상에서 상완골두 중심부이탈과 상완골두 상승이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견관절 불안정성을 예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되도록 조기에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며, 전방 관절와순 복원술,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 등의 다른 치료도 동시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humeral head decentralization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with a shoulder dislocation in the elderly. Moreover, shoulder instability and treatment were reviewed.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February 2017, Group A containing 45 cases (45 patients) over 65 years old accompanied by a large or massive rotator cuff tear with a shoulder dislocation and Group B containing 45 cases (45 patients) without a shoulder dislocation were enrolled. The mean ages in Groups A and B were 73.2 and 72.1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s were 30.7 and 31.3 months, respectively. Twenty-one cases (46.7%) in Group A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and 8 cases (17.8%) underwent concomitant rotator cuff repair with Bankart repair. Sixteen cases (35.6%) underwent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for cuff tear arthropathy. 45 cases (100%) in Group B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The off-the center and head elevation were measured in the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Groups A and B.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in Groups A and B were compared. Results: In Groups A and B, the mean off-the centers were posterior 7.41 mm and posterior 2.02 mm (p=0.03), and the mean head elevations were superior 6.66 mm and superior 2.44 mm (p=0.02), respectively. The mean ASES scores of Groups A and B were 32.8 and 33.4 before surgery, and 77.1 (p=0.02) and 78.1 (p=0.02) after surgery (p=0.18), respectively. The mean UCLA scores of Groups A and B were 13.1 and 12.8 before surgery, and 28.9 (p=0.02) and 29.5 (p=0.01) after surgery (p=0.15), respectively. Conclusion: Patients over 65 years old with a shoulder dislocation in large to massive rotator cuff tears had higher off-the center and head elevation on the preoperative MRI than those without a shoulder dislocation. This measurement can help predict preceding shoulder instability. Early rotator cuff repair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19.54.5.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