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에서 Schnorr 디지털서명의 사용 전망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Schnorr 디지털서명이 기존에 사용되던 ECDSA의 새로운 미래 대안 디지털서명이 될 수 있는지 그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우리는 현재 블록체인 디지털서명 기술 국내외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Schnorr 디지털서명 체계가 향후 ECDSA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지 그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Schnorr 디지털서명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보안성, 효율성, 가단성, 선형성, 배치검증, 다중서명 관점에서 기존 블록체인 디지털서명인 ECDSA보다 좋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여전히 대부분 블록체인에서 디지털서명으로 E...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3; no. 4; pp. 743 - 75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4.743 |
Cover
Loading…
Summary: | 본 논문은 Schnorr 디지털서명이 기존에 사용되던 ECDSA의 새로운 미래 대안 디지털서명이 될 수 있는지 그 전망에 관한 연구이다. 우리는 현재 블록체인 디지털서명 기술 국내외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Schnorr 디지털서명 체계가 향후 ECDSA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지 그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Schnorr 디지털서명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보안성, 효율성, 가단성, 선형성, 배치검증, 다중서명 관점에서 기존 블록체인 디지털서명인 ECDSA보다 좋은 효율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여전히 대부분 블록체인에서 디지털서명으로 ECDSA가 선호되고 있으며 Schnorr가 ECDSA를 완전히 대체할 거라는 전망은 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Schnorr 디지털서명의 우수성을 통해 블록체인에서 미래 디지털서명으로 ECDSA를 대체할 거라고 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spect of whether the Schnorr digital signature can be a new future alternative digital signature of ECDSA that was previously used. We identified the current use of blockchain digital signature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 Schnorr digital signature system is likely to replace ECDSA in the future. It was analyzed that the usability of Schnorr digital signatures has better efficiency than the existing blockchain digital signature ECDSA in terms of security, efficiency, malleability, linearity, batch verification, and multi-signature. ECDSA is still preferred as a digital signature in most blockchain, and it is not expected that Schnorr will completely replace ECDSA. However, we believe that the excellence of Schnorr digital signatures will replace ECDSA with future digital signatures in blockchain.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2.23.4.743 |
ISSN: | 1598-2009 2287-738X |
DOI: | 10.9728/dcs.2022.23.4.7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