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B와 소진의 관계: 사회적 가치 인식과 친사회적동기 및 OCB 수단성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직시민행동(OCB) 분야의 그 간 선행연구들은 OCB의 자발적이고 친사회적 속성에 기반하여 OCB의긍정적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많이 수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OCB가 항상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것은 아닐 수 있으며, OCB가 구성원 개인 차원의 결과변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OCB의 어두운측면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부정적 결과변수로서 소진(Burnout)이 지목되고 있으나, OCB와 소진의 관계를 다룬 실증연구들은 혼재된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OCB와 소진간의 관계를설명하는 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Vol. 33; no. 5; pp. 885 - 911
Main Author 최병권(Byoung Kwo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5.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조직시민행동(OCB) 분야의 그 간 선행연구들은 OCB의 자발적이고 친사회적 속성에 기반하여 OCB의긍정적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많이 수행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OCB가 항상 긍정적 효과를 발휘하는것은 아닐 수 있으며, OCB가 구성원 개인 차원의 결과변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OCB의 어두운측면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부정적 결과변수로서 소진(Burnout)이 지목되고 있으나, OCB와 소진의 관계를 다룬 실증연구들은 혼재된 연구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OCB와 소진간의 관계를설명하는 매개변수가 존재할 수 있으며, OCB와 소진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조건(Boundary condition)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CB의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두어 온 선행연구들의관점에서 벗어나, OCB는 특정한 상황에서 긍정적 메커니즘을 통해 소진의 감소를 이끌어 내는 역할을 수행할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 인식이라는 매개변수와 OCB를 수행하는구성원의 친사회적동기와 OCB 수단성 인식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OCB와 소진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210쌍의 상사 및 부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171쌍의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OCB는 사회적 가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가치 인식은소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가치 인식은 OCB와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와 관련하여, OCB와 사회적 가치 인식의 정(+)의 관계는 친사회적동기가높을수록, OCB 수단성 인식이 낮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OCB가 사회적 가치 인식을 매개로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친사회적동기와 OCB 수단성 인식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OCB는 사회적 가치 인식을 촉진함으로써 소진을 낮추는 긍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OCB와 소진 사이의 내적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밝힘으로써 그 간 선행연구에서나타난 OCB와 소진간의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과를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OCB가결과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서 그 간 다소 간과된 친사회적동기 및 수단성 인식이라는 OCB수행자의 특성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조직내에서 OCB라는 이타적 행동의 가치가구성원들 사이에 높이 평가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OCB가 사회적 가치의 인식으로이어지기 위해서는 조직 또는 상사가 OCB와 유무형의 평가ㆍ보상을 연계하는 것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본 연구 말미에서 논의하였다. Although researchers i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literature basicallyposit that OCB has positive consequences for employees and organizations, an emerging stream ofwork has begun to reveal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OCB for employees. Burnout has been pointedas the dark side of OCB's consequence; however, the empirical findings on the OCB-burnoutrelationship is mixed; implying that the effect of OCB on burnout can be influenced by employees'individual differences and also there might be a possible mediators explaining such relationship. Inother words, the mixed empirical findings imply that the important thing is to answer the questionof 'for whom is OCB good or bad, and how can OCB lead to burnout?' Hence, the goal of thecurrent study is identify how and when employees' OCB can lead to burnout. To be more specific,contrary to the perspective of prior studies positing the negative influence on burnout of OCB, thisstudy will suggest that OCB can lead to the reduced burnout through positive mechanisms in certainsituations. Taken togeth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burnoutby including perceived social worth as explanatory mechanism in positive aspect (as the mediator)and prosocial motivation and perceived OCB instrumentality as boundary conditions (as themoderators). Data were distributed to 210 supervisor-subordinate dyads working in South Korea andvalid 171 dyad responses were collected. Hypotheses were tested by conducting hierarchical moderatedregression and using SPSS macro to verify the conditional indrect effect of OCB on burnout throughperceived social worth. The result showed that employees' OCB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ivedsocial worth and their perception of social worth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burnout. In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burnout was mediated by socialworth.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s of employees' prosocial motivation and perceived OCB instrument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prosocial motivation and perception of OCBinstrumentality significantly interacted with OCB in influencing social worth; demonstrating that thepositive influence of OCB on social worth was only significant for employees with high level ofprosocial motivation and low level of perceived OCB instrumentality.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onanalysis show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OCB on burnout through perceived social worth was validonly for employees with high prosocial motivation and low perceived OCB instrumentality. The current study ha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OCB-burnout relationship. First, this study has contribute to demonstrate that OCB can decreaseemployees' burnout by facilitating their employees’' perceptions of social worth and to provide someclues to figure out the inconsistent findings on the OCB-burnout relationship that previous studiesfound.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OCBperformers-prosocial motivation and OCB instrumentality-as boundary conditions that have beenneglected in the prior studies. In practical aspects,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organizationto establish an atmosphere in which the value of employees' altruistic behaviors, such as OCB, canbe appreciated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In addition, the current finding implies thatorganizations need to be careful in aligning OCB and performance evaluation and/or rewards foremployees enable to perceive social worth in return for their OCB.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directions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