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군자추출분말(HU033)의 Quisqualic Acid 성분 분석법 검증

사군자추출분말(HU033)을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표준화를 위해 지표성분인 quisqualic acid의 HPLC 분석법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준용액과 HU033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피크가 선택적으로 분리되었으며, 표준용액과 HU033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시험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모두 0.998 이상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0; no. 2; pp. 204 - 209
Main Authors 김명일(Myeong-Il Kim), 윤지수(Ji-Soo Yoon), 오명환(Myeong-Hwan Oh), 손락호(Rak-Ho Son), 연성흠(Sung-Hum 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2.202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사군자추출분말(HU033)을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원료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표준화를 위해 지표성분인 quisqualic acid의 HPLC 분석법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준용액과 HU033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피크가 선택적으로 분리되었으며, 표준용액과 HU033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시험법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모두 0.998 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고, 직선성의 검출한계는 0.976 µg/mL, 정량한계는 2.958 µg/mL로 확인되었다. HU033에 1.25~10 µg/mL 농도로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조제한 용액을 동일한 조건으로 반복 실험하여 시험한 결과, 전체 평균 회수율은 100.26%로 분석의 높은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HU033의 검체량을 달리하여 각각 5회 반복 분석한 결과 전체 RSD(%) 구간은 0.52~1.90%로 확인되었고, quisqualic acid 분석의 정밀성을 확인하고자 intra-day와 inter-day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Intra-day 정밀성은 0.24~ 0.41%, inter-day 정밀성은 0.02~0.66% 수준으로 확인되어 높은 정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HU 033의 지표성분 quisqualic acid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current stud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used to validate and establish a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quisqualic acid (QA) in Quisqualis indica extract powder (HU033), which is widely us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Sample preparation was achieved by applying o-phthalaldehyde derivatization and protein hydrolysis. Analysis was performed on a C18 column with a gradient elution containing a mixture of sodium acetate (0.01 M, pH 4.6) and acetic acid (0.2 M) in water, and a flow rate of 1.0 mL/min methanol, detected at 338 nm. Method validation was achieved by measuring the specificity, linearity, accuracy and precision. Calibration curve of QA showed high linearity (R2=1), and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determined to be 1.0 and 3.0 μg/mL, respectively. Recovery rate ranged from 98.66% to 101.11%, and QA content in HU033 was approximately 1.09%.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developed method can be applied for quantifying QA in Quisqualis indica extract powder (HU033).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3311
2288-5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