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에서 추출된 조다당의 대식세포 보호 효과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 추출물(CTPS)이 세포 생존율에 치중했던 이전 세포 보호 효과 연구와는 다르게 대식세포의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caspase 세포사멸 신호전달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대식세포에 CTPS를 처리한 후 세포독성물질(staurosporine)을 병용 처리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평가해보았다. CTPS가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일어나는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세포독성물질로 인한 caspase 의존적인 세포사멸도 CTPS에 의해 억제되는...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48; no. 12; pp. 1330 - 1336 |
---|---|
Main Authors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12.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2.1330 |
Cover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 추출물(CTPS)이 세포 생존율에 치중했던 이전 세포 보호 효과 연구와는 다르게 대식세포의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caspase 세포사멸 신호전달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대식세포에 CTPS를 처리한 후 세포독성물질(staurosporine)을 병용 처리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지 평가해보았다. CTPS가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일어나는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세포독성물질로 인한 caspase 의존적인 세포사멸도 CTPS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게다가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생성된 활성산소종이 CTPS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세포독성물질로 인해 증가한 미토콘드리아 외막 투과성도 CTPS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TPS가 세포독성물질로 인한 caspase 활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대식세포의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CTPS가 앞으로 세포 보호 효과 소재로 개발되어 인체 내 면역세포 보호 효과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believed that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polysaccharides extracts (CTPS) ha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y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have shown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CTP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CTPS in terms of their inhibition of cytotoxicity, caspase activit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mitochondrial outer membrane permeability (MOMP) increase in Raw264.7. Macrophage apoptosis was induced by staurosporine (STS) treatment. CTPS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STS induced cell death and annexin V positive cell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CTPS treatment inhibited activation of caspase-3, 8, 9, and PARP in macrophages. Further, CTPS treatment reduced STS induced ROS production and MOMP increase in macrophages. In conclusion, CTPS treatment inhibits STS-induced macrophage apoptosis through inhibition of cytotoxicity, caspase activation, ROS production, and MOMP increase. These results suggest CTPS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reatment of immune cell protection effects.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19.48.12.1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