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유아의 쓰기 특성에 대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유 글쓰기를 통하여 쓰기발달 단계, 쓰기 산출성, 쓰기 오류의 측면에서 쓰기발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유아 3세, 4세, 5세 총 120명과 일반가정 유아 120명, 총 24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유 글쓰기 결과물을 쓰기발달 단계와 쓰기 산출성, 쓰기 오류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의 쓰기발달 단계를 비교하였을 때, 3세, 4세, 5세 모두 다문화가정 유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쓰기발달 단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두 집단의 쓰기 산출...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6; no. 3; pp. 49 - 6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3.005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유 글쓰기를 통하여 쓰기발달 단계, 쓰기 산출성, 쓰기 오류의 측면에서 쓰기발달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다문화가정 유아 3세, 4세, 5세 총 120명과 일반가정 유아 120명, 총 24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유 글쓰기 결과물을 쓰기발달 단계와 쓰기 산출성, 쓰기 오류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의 쓰기발달 단계를 비교하였을 때, 3세, 4세, 5세 모두 다문화가정 유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쓰기발달 단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두 집단의 쓰기 산출성을 비교하였을 때, 다문화가정의 3세와 4세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전체 낱말 수와 다른 낱말 수가 통계적으로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쓰기에 나타난 문장 수는3, 4, 5세 모두 다문화가정 유아가 일반가정 유아보다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쓰기 오류 중철자오류율은 5세의 경우, 음절오류율과 자음오류율이 일반가정 유아가 다문화가정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오류 유형별 비율은 5세에서 생략과 삽입에서 일반가정 유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두 집단의 쓰기발달 단계를 동일 연령끼리 비교하였을 때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 단계가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므로 다문화가정 유아의 쓰기에 대한 교육적 지원은 학령기가 아닌 취학전 시기부터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부 지표들에서는 5세에서 격차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쓰기발달이 연령이 증가할수록점진적으로 발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development through free writing i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totalled 240 people with 120 young children aged 3, 4 and 5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20 young children from monocultural families. The free writing output of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writing-development phase, writing productivity, and writing error rates. Results: First, when the writing development stag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writing developmental stages than infants from monocultural families in 3, 4, and 5 year olds. Second, when comparing the writing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otal words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in 3- and 4-year-old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monocultural family inf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5 years of age between groups. The number of sentences in the writing of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3, 4, and 5 years ol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monocultural family infants. Third, the syllable error rate and the consonant error rate of the spelling error rate in the monocultural family inf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ulticultural family infants at the age of 5. Conclusion: When comparing the writing-development phase among same ages in two groups, the development phase in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low. This means that these children's writing development is being made gradually at an older age.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ksha1990.or.kr/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3.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