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곡선법을 이용한 단기통 디젤엔진의 비정상 가스유동 해석

환경오염저감 장치들이 디젤엔진에 설치되면서, 흡·배기 시스템의 가스유동 해석이 필요하다. 3D로 가스 유동해석을 하게되면, 고사양의 해석용 컴퓨터와 많은 계산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빠른 계산 시간과 저사양의 해석용 컴퓨터로 가스 유동해석을 하기 위해 특성곡선법이 이용되고있다. 단기통 디젤엔진을 대상으로 실린더와 배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특성곡선법을 이용한 가스유동 해석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해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특성곡선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실린더 압력은 정확성을 보였으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 24; no. 5; pp. 41 - 47
Main Authors 공경주(Kyeong-Ju Kong), 김경현(Kyong-Hyon Kim), 고대권(Dae-Kwon K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동력기계공학회 01.10.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8429
2713-8437
DOI10.9726/kspse.2020.24.5.04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환경오염저감 장치들이 디젤엔진에 설치되면서, 흡·배기 시스템의 가스유동 해석이 필요하다. 3D로 가스 유동해석을 하게되면, 고사양의 해석용 컴퓨터와 많은 계산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빠른 계산 시간과 저사양의 해석용 컴퓨터로 가스 유동해석을 하기 위해 특성곡선법이 이용되고있다. 단기통 디젤엔진을 대상으로 실린더와 배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특성곡선법을 이용한 가스유동 해석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과 같은 조건으로 해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특성곡선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실린더 압력은 정확성을 보였으나 배기관의 압력은 정확하지 않았다. 추후, 1D-3D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특성곡선법의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보고자 한다. As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devices were installed in diesel engines, a gas flow analysis of intake and exhaust systems is required. A gas flow analysis in 3D format needs a high-resolution workstation and enormous time for analysis. Therefore,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was used for a gas flow analysis with a fast calculation time and a low-resolution worksta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ingle cylinder diesel engine to measure cylinder pressure and exhaust pipe pressure. In order to validate a gas flow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nalyz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experiment were compar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the cylinder pressure showed accuracy; however, the exhaust pipe pressure was inaccurate. In the future, the shortcomings of the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will be supplemented by using the 1D-3D coupling method. KCI Citation Count: 0
ISSN:2713-8429
2713-8437
DOI:10.9726/kspse.2020.24.5.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