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포츠 빅데이터 분석 연구의 현황

이 연구는 스포츠와 체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 중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연구의 현황에 대해서 논하고, 빅데이터 분석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내용을 논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을 통해 검색된 등재 학술지와 등재 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과정에서 특정한 연구방법이 동일 저자 혹은 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활용된 경우, 하나의 연구방법으로 정리하였고, 연도에 따라 처음 제안된 연구를 먼저 제시한 후 연이은 연구는 동일한 연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 22; no. 2; pp. 63 - 69
Main Author 최형준(Hyongjun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6.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스포츠와 체육학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 중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연구의 현황에 대해서 논하고, 빅데이터 분석의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내용을 논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을 통해 검색된 등재 학술지와 등재 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과정에서 특정한 연구방법이 동일 저자 혹은 저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활용된 경우, 하나의 연구방법으로 정리하였고, 연도에 따라 처음 제안된 연구를 먼저 제시한 후 연이은 연구는 동일한 연구방법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스포츠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1) 빅데이터 개념에 관련된 연구, 2) 텍스트 마이닝에 관련된 연구, 3)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관련된 연구, 4) 분류에 관련된 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스포츠 빅데이터 분석의 방법론적 동향은 단순히 빅데이터의 적용 가능성을 논한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여 스포츠 및 체육학 분야에 적용될 시 발생할 수 있는 우려로 구체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방법론적 변화에 있어서 구체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 있어서 스포츠 빅데이터 분석 방법이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제안으로 이어진다면, 향후 스포츠 및 체육학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to discus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sports big data researches in Korea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field of sports and physical education. Also, this study intended to discuss about the critical contents in order to apply the big data technologies practically. The articles listed in the journals indexing on the KCI(Korea Citation Index)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at the first article used a specific methods relevant to sports big data was importantly selected. And then the articles which used same method with the first article, were cognized as same as the first article. In addition, All articles selected were ordered by published year. The current status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by 1) the concept of big data, 2) text mining, 3) social network analysis, and 4) classification of data. At the beginning of trends, the article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big data was identified. And the methodological trends of Sports Big Data were heading to the worries when the big data technologies applied to the field of sports and physical education even the methodological changes were found within various attempts. Further application of Sports Big Data could be broadly applied in the field of sports and physical education when systematic and scientific proposals were expanded.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225
2671-9134
DOI:10.21797/ksme.2020.22.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