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행 경로 추천

최근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번거로운 여행 일정을 대신 수립해주는 여행 일정 추천 서비스에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행 일정 추천에 있어 가장 중요하면서도 공통적으로 제시되는목표는 여행 목적지 근처의 인기 관광지를 포함한 최단 거리 여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수의기존 연구에서는 개인 맞춤형 스케줄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사용자의 여행 이동 경로 이력이나SNS 리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설문 조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단 거리를 계산할 때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도 명확히 지적되지 않았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27; no. 5; pp. 117 - 125
Main Authors 유양우(Yang Woo Yu), 김성혁(Seong Hyuck Kim), 김현규(Hyeon Gyu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5.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최근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번거로운 여행 일정을 대신 수립해주는 여행 일정 추천 서비스에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행 일정 추천에 있어 가장 중요하면서도 공통적으로 제시되는목표는 여행 목적지 근처의 인기 관광지를 포함한 최단 거리 여행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수의기존 연구에서는 개인 맞춤형 스케줄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사용자의 여행 이동 경로 이력이나SNS 리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설문 조사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단 거리를 계산할 때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도 명확히 지적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셜 빅데이터를활용하여 인기 관광지를 알아내기 위한 정량화된 방법을 소개하고, 최단 거리 알고리즘 적용시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함께 제시한다. 제안 방법을 검증하기위해,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63,000여 개의 플레이스 정보를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했으며, 실험을통해 제안한 휴리스틱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실제 데이터 상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Recently, as users’ interest for travel increases, research on a travel route recommendation service that replaces the cumbersome task of planning a travel itinerary with automatic schedul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he most important and common goal of the itinerary recommendations is to provide the shortest route including popular tour spots near the travel destination. A number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providing personalized travel schedules, where there was a problem that a survey was required when there were no travel route histories or SNS reviews of users. In addition, implementation issu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calculating the shortest path were not clearly pointed out. Regarding this, this paper presents a quantified method to find out popular tourist destinations using social big data, and discusses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applying the shortest path algorithm and a heuristic algorithm to solve it.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63,000 places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the Gyeongnam province and bi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laces,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heuristic scheduling algorithm can provide a timely response over the real data.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2.27.05.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