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
본 연구는 이상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그를 둘러싼 ‘모순’적 모습과 해석을 종합하고자 한다. ‘부정성과 불화의 시인’이자 ‘생(生)에의 순교자로서 시인’으로 이상은 오늘날 독자에게 두 명의 이상을 보여주는데, 전자에 주목할 때 독자는 여러 ‘기교’의 실험 끝에 ‘절망’하여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의 얼굴을 발견하고, 반면 후자에 주목했을 때 절망 가운데 어떻게든 세계를 긍정하고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시인의 실존적인 얼굴을 마주한다. 생태적 상상력에 의해 개진된 이상의 시는 일반적으로 이상의 두 모습 가...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시학연구 no. 70; pp. 51 - 8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시학회
01.05.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70.202205.002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이상 시에 나타난 ‘생태적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그를 둘러싼 ‘모순’적 모습과 해석을 종합하고자 한다. ‘부정성과 불화의 시인’이자 ‘생(生)에의 순교자로서 시인’으로 이상은 오늘날 독자에게 두 명의 이상을 보여주는데, 전자에 주목할 때 독자는 여러 ‘기교’의 실험 끝에 ‘절망’하여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의 얼굴을 발견하고, 반면 후자에 주목했을 때 절망 가운데 어떻게든 세계를 긍정하고 극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시인의 실존적인 얼굴을 마주한다. 생태적 상상력에 의해 개진된 이상의 시는 일반적으로 이상의 두 모습 가운데 “생에의 순교자로서 시인”에 해당하지만, 이상 특유의 생태적 상상력은 ‘부정성과 불화의 시인’의 시적 방법이자 그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해석은 ‘부정성’을 강조하며 이상을 모더니즘적으로 규정하는 연구의 한 방향과 ‘생성적 차원’을 강조하며 이상을 니체주의적으로 규정하는 다른 한 방향 모두를 보완하고 둘 사이에 연결지점을 마련하는 기획에 해당한다. 본고가 집중할 생태적 상상력은 ‘나무 인간’ 모티프이며, 대표되는 식물적 상상력으로, 이상의 화자는 식물적 상상력과 더불어 시인과 독자를 진정 절망으로 도달하게끔 함으로써 새로운 생성의 영역을 가능하게 한다. This study aims to synthesize the 'contradictory' appearance and interpretation surrounding the Yi Snag’s poem, starting with his 'ecological imagination'. As a "poet of negativity and disharmony" and a "poet as a martyr to life" Yi Sang shows the reader two poets today.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former, the reader finds the face of a "genius" who has become "desperate" after experiments of "poetic technology," while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latter, the existential face of a poet struggling to somehow affirm and overcome the world. Yi Sang's poem, which was expressed by ecological imagination, is generally the "poet as a martyr in life," but the poet's unique ecological imagination is the method and result of "poet of negativity and disharmony." This interpretation is a plan to supplement both the two research directions approaching the poet's two faces, that is, the study that defines the poet modernistically and the study that defines the poet Nietzscheically, and to establish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two. The ecological imagination that this paper will focus on is the plant imagination represented by the "wood man" motif, and the poetic narrator enables a new realm of creation by allowing the poet and the reader to truly reach despair along with the plant imagin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1943 2733-9440 |
DOI: | 10.15705/kopoet..70.202205.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