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LI-Y 한국어 단기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본 연구는 한국어 단기 교육 프로그램인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이하 NSLI-Y)"의 운영 현황 및 교육 과정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SLI-Y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재 개발, 학생들의 정확한 한국어 실력 파악 및 분반, 한국어 교사-튜터-홈스테이 가정의 맞춤형 상호연계 수업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시도하면서 지난 5년간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거나, 혹은 몇 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0(3) Vol. 20; no. 3; pp. 371 - 397
Main Author 이은선(Lee, Eun S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01.12.2019
인문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7701
2671-7018
DOI10.22845/wjoh.2019.20.3.0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한국어 단기 교육 프로그램인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이하 NSLI-Y)"의 운영 현황 및 교육 과정을 살펴보고,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SLI-Y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적합한 교재 개발, 학생들의 정확한 한국어 실력 파악 및 분반, 한국어 교사-튜터-홈스테이 가정의 맞춤형 상호연계 수업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시도하면서 지난 5년간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어를 전혀 모르거나, 혹은 몇 개의 단어 정도 아는 학생들의 9 0% 이상이 OPI 평가에서 두 단계 이상의 레벨이 상승한 결과를 받았고, 이러한 결과로 한국에 파견되는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더욱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수업 및 교재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고, 학교와 홈스테이 가정의 학습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 과제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객관적인 피드백을 받고, 이러한 피드백 결과를다음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고교생을 위한 국내의 한국어 단기 교육이 한층 더 발전하고 확대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operational status and training courses of the Korean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 (NSLI-Y), a Korean education program, and to explore ways to ensur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NSLI-Y program has achieved a great deal over the last five years. Success factors included develop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program, identifying the correct level of students, and interconnecting classes between teachers, tutors, and homestay families. This effort resulted in a two or three-level increase in OPI evaluation of over 90% of students. For this program to grow and develop further,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should continue. As education plans are developed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work on these pla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extbook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You will also need to develop a variety of activities and tasks that will connect school and homestay families. In addition, we need to think deeply about the ways in which tutoring, cultural classes, cultural orienteering, and cultural trips that accompany Korean language learning are organically connected.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7701
2671-7018
DOI:10.22845/wjoh.2019.20.3.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