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이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일반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 7명씩 총 1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면 및 집합 교육이 어려워진 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교육을 주 2회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1학년 담임 경력이 있는 통합교사 인터뷰와 전이에 대한 가족 요구 설문조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의...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38; no. 1; pp. 19 - 47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2.2022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2.02.38.1.19 |
Cover
Loading…
Summary: | 연구목적: 일반초등학교 입학 예정 장애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 7명씩 총 14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코로나 19로 인하여 대면 및 집합 교육이 어려워진 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 쌍방향 온라인 교육을 주 2회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구성을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지도 경험과 1학년 담임 경력이 있는 통합교사 인터뷰와 전이에 대한 가족 요구 설문조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대기자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와 프로그램 참여 소감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에서 부모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영역에서 부모로서의 효능감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부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집단에서 가족역량강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으며, 하위 영역에서 체제에 대한 옹호, 지식, 능력의 3가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자기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 도움이 되었던 부분, 가정 실천 사례, 온라인 부모교육 강점과 약점에 대한 참여 소감을 통하여 구체적인 효과를 알아볼 수 있었다. 결론: 장애 유아의 일반초등학교 전이 지원을 위한 온라인 부모교육은 부모효능감과 가족역량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특수교육대상자 학교 배치와 장애 유형에 따른 전이 지원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장애 유아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치료사들을 위한 전이 교육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parental education on parental efficacy and family empowerment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cted to enter general elementary school. Method: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4 participants, 7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s the COVID-19 pandemic made face-to-face and group education difficult, interactive online education was organiz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ten sessions. The program curriculum was formulated, based on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special -educations target students and teachers with first-year homeroom experience, and a survey on family needs for transf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pre-post design for the control group, and impressions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ere created. Resul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efficac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efficacy in the subdoma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ention and interest in parental rol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competency reinforc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domains of system advocacy, knowledge, and ability in the subdomai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Third,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specific effects, such as the part where the program was helpful, practical examples at home,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online parenting education through participation testimonials. Conclusion: Onlin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he transi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general elementary schools had positive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and family empowerment. Future research may be conducted on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o support transference according to school placement and type of disa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nd transfer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rap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ions tha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2.02.38.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