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nSRT)를 통한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출 및 배열 처리능력 비교

목적: 본 연구는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 검사(nSRT)를 이용하여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아동의 인출능력과 배열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 간 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음운부호화과정에서 배열능력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말소리 결함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표준화된 검사도구 REVT-r과 U-TAP을 이용하여, 4-6세 말소리장애아동 22명, 일반아동 22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nSRT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수행 차이를 인출과 배열 점수, 그리고음절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28; no. 3; pp. 61 - 69
Main Authors 류은주(Eun Joo Ryu), 하지완(Ji-Wan Ha), 김화수(Wha S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01.07.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9.28.3.06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 검사(nSRT)를 이용하여 말소리장애 집단과 일반아동의 인출능력과 배열능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 간 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음운부호화과정에서 배열능력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말소리 결함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표준화된 검사도구 REVT-r과 U-TAP을 이용하여, 4-6세 말소리장애아동 22명, 일반아동 22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nSRT 검사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 수행 차이를 인출과 배열 점수, 그리고음절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과제 수행 시 대상자들이 나타내는 오류유형을 구분하여, 오류유형별오류율을 살펴보았다. 결과 : 말소리장애 집단 보다 일반아동이 더 높은 인출과 배열 수준을 나타내었고, 항목의 길이가 길수록, 그리고 인출보다는 배열에서 유의하게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집단 간 인출과배열의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말소리장애 집단의 경우 일반아동 보다 훨씬 더 낮은수준의 배열 능력을 보였다. 또한 일반아동의 경우 발성유형대치 오류를 빈번하게 보인 반면, 말소리장애집단의 경우 음절생략 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음운처리능력을 평가 시 그동안 간과되었던 배열의 중요성에 대해 입증하고, 음운처리능력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는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retrieval and sequencing abilities for groups of children with a speech sound disorder and those with typical development using the nonsense syllable repetition test (nSR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performance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the study intended to examine a speech sound defect which may be caused by the sequencing ability in a process of phonological coding from a detailed manner. Methods : Using REVT-r and U-TAP, 22 pure speech sound disorder and 2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ere selected. nSRT was conducted for 22 pure speech sound disorder and 2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groups were investigated via scores of retrieval and sequencing and the number of phonemes. Beside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rror types subjects showed while performing a task, error rate was analyzed by error type. Results :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a higher level of retrieval and sequencing than the speech sound disorder-group. Furthermore, as an item was longer,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difficulties and it was a case for sequencing rather than retrieval. In other words, the speech sound disorder-group had an even lower level of the sequencing ability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oreove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howed frequent errors of the phonation type substitution while the speech sound disorder-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of the syllable omission. Conclusions :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importance of sequencing overlooked so far when evaluating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nd evaluated such abilities from multilateral aspec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587X
2671-7158
DOI:10.15724/jslhd.2019.28.3.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