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재활사를 위한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이 관계적 역량 강화에 미치는 효과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관계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기초연구와 예비 연구 프로그램 실시 후수정 보완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 13명과 통제집단 13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주 1회 150분씩 총 10회기 동안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Ma...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Vol. 26; no. 4; pp. 173 - 18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10.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4.015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관계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기초연구와 예비 연구 프로그램 실시 후수정 보완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 13명과 통제집단 13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주 1회 150분씩 총 10회기 동안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Wilcoxon 순위합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사후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Mann-Whitney 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구체적인 프로그램 적용 효과 및 회기 과정의 변화를 알아보기위하여 초기, 후기 단계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은 언어재활사의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인간중심 수퍼비전 모델에 기초하여 아동중심 접근법을 교육하고 훈련과 실습을중심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인간중심 수퍼비전 프로그램은 치료사-아동관계에서 인간중심 수퍼비전 집단과통제집단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인간중심 수퍼비전 집단은 모든 하위 요인에서 향상되어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사-부모관계는 통제집단에서 치료 회기가 진행될수록 오히려 관계가 악화된 것에비해 인간중심 수퍼비전 집단은 관계의 높은 향상을 가져와 가장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언어재활사의 감정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결론: 언어재활사들이 인간중심 수퍼비전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언어재활사 자신의 치료사 중심적 사고에서 아동 중심적 사고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키고 인본주의 개념을 습득함으로써 치료관계 향상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uman-centered supervision programs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relationship ability enhancement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pon implementing the preliminary research program composed of basic research, i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o develop the final program.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13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A supervision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15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ten sessions. The Wilcoxon rank-sum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 and post-score difference within the group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post-scor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Mann-Whitney tes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pecific program application eff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early and late steps. Results: First, the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ability enhancement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based on the human-centered supervision model by utilizing children-centered approach, training, and practice. Second, the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enhancement of relational ability. Although the supervis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the supervision group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 in intimacy. Third, in regards to the pathologist-parents relation, it worsened in the control group as more and more sessions were conducted. In the case of supervision group, it show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the gradual improvements. Conclusions: In regards to this study, its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has caused changes in the attitude of percep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from their pathologist-centered mindset to children-centered mindset by applying the human-centered supervision mode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www.ksha1990.or.kr/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17.26.4.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