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식생층위별 조류군집의 분석
본 연구는 제주도 서부에 위치한 청수곶자왈 지역과 제주도 동부에 위치한 선흘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서식하는 조류의 층위에 따른 다양성과 공간 이용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각 곶자왈 지역별로 두 지역을 선정하여 월 2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 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상층부를 주로 이용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동박새(Zosterops japonicus), 오목눈이(Aegithalos caudatus), 방울새(Carduelis sini...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27; no. 2; pp. 101 - 10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01.12.2020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DOI | 10.30980/kjo.2020.12.27.2.10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제주도 서부에 위치한 청수곶자왈 지역과 제주도 동부에 위치한 선흘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서식하는 조류의 층위에 따른 다양성과 공간 이용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각 곶자왈 지역별로 두 지역을 선정하여 월 2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주도 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상층부를 주로 이용하는 조류는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 동박새(Zosterops japonicus), 오목눈이(Aegithalos caudatus), 방울새(Carduelis sinica) 등이었고 중층부를 주로 이용하는 종은 긴꼬리딱새(Terpsiphone atrocaudata),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등이었으며 하층부를 주로 이용하는 종은 굴뚝새(Troglodytes troglodytes), 휘파람새(Cettia diphone) 등이었다. 군집분석 결과 상층부는 종다양도와 균등도는 낮고 종풍부도와 우점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층부와 중층부 그리고 하층부는 유사도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각 층위와 지면과의 유사도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곶자왈 지역의 상록활엽수림에서 층위별로 이용하는 조류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곶자왈 지역 숲에 서식하는 조류를 보호하기 위한 서식지 보전 대책을 마련할 때 층위와 같이 세부환경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versity and the space use of birds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t Sunheul Gotjawal area and Cheongsu Gotjawal area(the eastern and western part of Jeju Island, respectively) in the Republic of Korea. We monitored birds at the two survey sites in each Gotjawal area twice a month from November 2014 to October 2015. The birds that mostly use the upper layers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the Gotjawal area were Microscelis amaurotis, Zosterops japonicus, Aegithalos caudatus and Carduelis sinica. The species that mostly use middle layers were Terpsiphone atrocaudata, Parus major and Parus varius while the main birds in the low layers were Troglodytes troglodytes and Cettia diphone. This finding showed that the diversity and the evenness were low but the richness and the dominance were high in the upper layers. The upper, middle and lower layers had high similarity indcies, while the similarity between each layer and the ground was low. When establishing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of birds in the Gotjawal forests in Jeju,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tailed structural factors of forests such as the foliage layer.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30980/kjo.2020.12.27.2.101 |
ISSN: | 1225-9179 2586-6893 |
DOI: | 10.30980/kjo.2020.12.27.2.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