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위한 기능성 게임 개발

본 논문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일상생활에서 큰 역할을 차지한다. 특히 얼굴 표정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들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대방의 얼굴 표정에 대해 이해하거나, 다양한 얼굴 표정을 생성하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지원하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 26; no. 5; pp. 238 - 243
Main Authors 최정회(Jeonghoi Choi), 김지인(Jee-In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01.05.2020
한국정보과학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3-6318
2383-6326
DOI10.5626/KTCP.2020.26.5.23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일상생활에서 큰 역할을 차지한다. 특히 얼굴 표정은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들이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대방의 얼굴 표정에 대해 이해하거나, 다양한 얼굴 표정을 생성하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나 시설이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비교적 쉬우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실행 가능한 도구로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강화를 위한 기능성 게임을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바타 얼굴 표정 만들기” 게임, “얼굴 표정 짝 맞추기” 게임과 “상황별 얼굴 표정 찾기” 게임을 이용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이 상대방의 얼굴 표정 알아 맞추기와 스스로 얼굴 표정 만들기에 대한 학습과 훈련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 소개한 기능성 게임 중 “얼굴 표정 짝 맞추기” 게임과 “아바타 얼굴 표정 만들기” 게임을 가지고 167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게임들에 대한 흥미, 난이도 및 지속성을 측정하여 사용자 연구를 진행했다. This paper propose a functional games for strengthening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Non-verbal communication is a big part of our daily lives, Especially facial expressions serve as an important key point in our conversation with people. Nevertheless, It's very difficult for children of ASD to acquire the ability to understand each other's facial expressions or to produce a variety of facial expressions in the course of communication. In Korea, there are fewer programs to support children of ASD. To overcome this challenge, the paper proposes to use functional games (i.e. a game of creating facial expressions for an avatar, a game of matching facial expressions, and a game of finding a correct facial expression) to learn facial expressions in non-verb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functional games introduced in this study, such as "a game of matching facial expressions" and "a game of creating facial expressions for an avatar" games, were used to measure interest, difficulty, and persistence in these games by 167 users. KCI Citation Count: 0
ISSN:2383-6318
2383-6326
DOI:10.5626/KTCP.2020.26.5.238